Gorio Tech Blog search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2. 문자, 경계, flags

|

목차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1. Basic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2. 문자, 경계, flags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3. OR, 반복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4. 그룹, 캡처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5. 주석, 치환, 분리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6. 치환 함수, 양방탐색, 조건문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7. 예제(숫자)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8. 예제(단어, 행)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9. 기타 기능


이 글에서는 정규표현식 기초와 python library인 re 패키지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글에서 정규표현식은 regex와 같이, 일반 문자열은 ‘regex’와 같이 표시하도록 한다.

파이썬 버전은 3.6을 기준으로 하나, 3.x 버전이면 (아마) 동일하게 쓸 수 있다.
2.7 버전은 한글을 포함한 비 알파벳 문자 처리가 다르다.


특수문자

메타문자

메타문자에 대해서는 이전 글에서 설명했다.

비인쇄 문자

\a, 이스케이프\e, 폼 피드\f, 라인 피드(개행문자)\n, 캐리지 리턴\r, 가로 탭\t, 세로 탭\v는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쓸 수 있다.

\a \e \f \n \r \t \v
\x07 \x1B \f \n \r \t \v

정규표현식을 쓰면서 다른 것들은 거의 볼 일이 없을 것이지만, \t\n은 알아두는 것이 좋다.

matchObj = re.findall('\t ', 'a\tb\tc\t \t d')
print(matchObj)

결과

['\t ', '\t ']

탭 문자와 공백 문자가 붙어 있는 것은 2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스케이프 \

이스케이프 문자 \는 메타문자를 일반 리터럴 문자로 취급하게끔 해 준다.
예를 들어 여는 괄호 [는 메타 문자지만, \[와 같이 처리하면 리터럴 문자인 일반 대괄호 문자 ‘[‘와 매칭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일반 영수 문자(알파벳 또는 숫자)를 이스케이프 처리하면 에러가 나거나 혹은 전혀 다른 의미의 정규식 토큰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파이썬에서 \1의 경우에는 캡처한 문자열 중 첫번째를 재사용한다는 의미(나중에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가 되어 버린다. 따라서 \를 남용하면 안 된다.


[ ] 대괄호:여러 문자 중 하나와 일치

대괄호 [] 사이에 원하는 문자를 여러 개 넣으면, 문자열이 넣은 문자 중 하나와 일치하면 매칭이 이루어진다. 즉 OR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 ] 안에 얼마나 많은 문자 종류가 있는지에 상관없이 딱 한 문자와 일치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규식 표현이 [abc]이고 문자열이 ‘a’이면 re.match는 매칭되었다고 할 것이다.
문자열이 ‘b’이거나 ‘c’이어도 매칭이 된다. 다만 문자열이 ‘d’이거나 ‘가나다’ 같은 것이면 매칭이 되지 않는다.

matchObj = re.fullmatch("You[;']re studying re module[.,]", \
                        'You;re studying re module,')
print(matchObj)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26), match='You;re studying re module,'>

사용자의 오타를 잡기에 괜찮은 기능이다.

대괄호 [ ]에는 다른 기능이 더 있다. 이전 글에서 semi-메타문자를 설명했었는데, 문자 -는 대괄호 안에서는 메타문자 역할을 한다.

하이픈 -는 범위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a-z]는 알파벳 소문자 중 하나이기만 하면 매칭이 된다. 또 [A-Z], [0-9]는 각각 알파벳 대문자와 숫자 하나에 매칭된다.
물론 위의 경우뿐만 아니라 넓은 범위도 가능하다. [가-힣]의 경우는 한글 한 글자에 일치된다.
[A-z]는 영문 대소문자와 몇 개의 특수문자를 포함한다. 하지만 여러분이 잘 모르는 문자까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영문자는 [A-Za-z]와 같이 쓰기를 권한다.

참고로, 대괄호 안에서는 메타문자 역할을 하는 것은 오직 \, ^, -, ] 4개뿐이다. 즉, 이전에 메타문자라고 설명했었던 ., *, + 등은 대괄호 안에서는 그냥 문자 ‘.’, ‘*’, ‘+’ 하나에 매칭된다.
그러나 헷갈릴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원래 메타문자인 문자들은 그냥 대괄호 안에서도 \ 이스케이프 처리하는 것이 편할 것이다.
물론 IDE가 좋다면 redundant escape character라는 경고를 띄워 줄지도 모른다.

캐릿(caret)^ 문자가 여는 대괄호 바로 뒤에 있으면 문자가 반전된다. 바로 예시를 보도록 하자.

matchObj = re.search('Why [a-z]o serious\?', 'Why so serious?')
print(matchObj)
matchObj = re.search('Why [^0-9]o serious\?', 'Why so serious?')
print(matchObj)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15), match='Why so serious?'>
<_sre.SRE_Match object; span=(0, 15), match='Why so serious?'>

[a-z]는 영문 소문자 하나(‘s’)와 일치되므로 매칭 결과가 반환되었다.
[^0-9]는 숫자를 제외한 문자 하나에 일치되므로, ‘s’는 숫자가 아니기에 매칭이 되었다.

[z-a]와 같이 거꾸로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괄호 안의 -는 또 다른 기능이 있다. 바로 진짜 빼기(마이너스), 즉 차집합 연산이다.
대괄호 한 쌍을 집합으로 보면 차집합이란 말이 이해가 될 것이다. [a-z-[g-z]]의 경우 a-f와 같은 의미이다.
또 &&를 안에 쓰면 C언어 문법의 and 기능처럼 교집합을 의미한다고 한다.
하지만 필자가 글을 쓰는 시점에서 이 문법이 유효한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파이썬 버전에 따라 다를 수도 있고, 지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도 있다.


. 마침표: 모든 문자와 일치

개행문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와 일치하는 정규표현식은 마침표 . 이다. 정말로 모든 문자와 일치되기 때문에 별다른 설명은 필요 없을 것 같다.

matchObj = re.findall('r..n[.]', 'ryan. ruin rain round. reign')
print(matchObj)

결과

['ryan.']

대괄호 [ ] 안에서는 .가 메타문자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일치되는 문자열은 ‘ryan’ 하나뿐이다.

마침표는 개행 문자와 일치 옵션

파이썬 re 패키지의 많은 함수들은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받는다고 이전 글에서 설명했었다.

re.match(pattern, string, flags)

여기서 flags는 다음과 같은 종류들이 있다.

syntax long syntax inline flag meaning
re.I re.IGNORECASE (?i) 대소문자 구분 없이 일치
re.M re.MULTILINE (?m) ^와 $는 개행문자 위치에서 일치
re.S re.DOTALL (?s) 마침표는 개행문자와 일치
re.A re.ASCII (?a) {\w, \W, \b, \B}는 ascii에만 일치
re.U re.UNICODE (?u) {\w, \W, \b, \B}는 Unicode에 일치
re.L re.LOCALE (?L) {\w, \W, \b, \B}는 locale dependent
re.X re.VERBOSE (?x) 정규표현식에 주석을 달 수 있음

우선 다른 것들은 나중에 살펴보고, 마침표 옵션만을 보자.

syntax long syntax meaning
re.S re.DOTALL 마침표는 개행문자와 일치
print(re.findall('a..', 'abc a  a\na'))
print(re.findall('a..', 'abc a  a\na', re.S))
print(re.findall('a..', 'abc a  a\na', re.DOTALL))

결과

['abc', 'a  ']
['abc', 'a  ', 'a\na']
['abc', 'a  ', 'a\na']

개행 문자도 마침표에 일치되는지를 설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자열을 행 단위로 처리하거나 아니면 전체 문자열을 대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에 이 옵션의 존재 의의가 있다.

모드 변경자

아니면 다른 방법도 있다. 정규표현식 내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문자열 앞에 (?s) 토큰을 넣으면 된다.

print(re.findall('(?s)a..', 'abc a  a\na'))

결과

['abc', 'a  ', 'a\na']

모드 변경자는 여러 개를 중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분에만 사용하고 싶으면 (?s<regex>)처럼 모드 변경자의 소괄호 안에 집어넣으면 된다.

print(re.findall('(?is)a..', 'Abc'))
print(re.findall('(?is:a..) and abc is good',
'''
Abc and abc is good.
abc and Abc is good. 
'''))

결과

['Abc']
['Abc and abc is good']

두 번째 findall에서 문장을 한 개만 찾은 것을 유의하라.


문자 집합: \w \W, \d \D, \s \S, \b \B

\w, \W: 단어 문자, 비 단어 문자

\w는 단어 문자 1개와 일치된다. 단어 문자는 영문 대소문자, 숫자 0-9, 언더바 ‘_’ 를 포함한다.
한글 등 알파벳 이외의 단어는 파이썬 버전에 따라 다른데, Unicode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파이썬 3이라면 아마 \w의 범위에 한글도 포함될 것이다. 여러분이 스스로 확인해 봐야 할 것이다.

\W는 단어 문자 이외의 문자 1개에 일치된다. 즉 공백 문자, 특수 문자 등에 일치된다고 보면 된다.
\w와 정확히 반대의 역할을 한다.

matchObj = re.search('\w\w\w', 'a_가')
print(matchObj)
matchObj = re.findall('\w\W\w', 'a (9_a a')
print(matchObj)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3), match='a_가'>
['a a']

첫 번째 출력 결과의 경우 단어 3개를 나타내는 정규표현식에 ‘a_가’가 매칭되었다. 두 번째 출력 결과는 잘 보면
1) 단어 문자(a)
2) 비 단어 문자( )
3) 단어 문자(a)
순으로 되어 있는데, 그런 결과는 ‘a a’ 하나뿐이다.

\d, \D: 숫자 문자, 비 숫자 문자

\d는 숫자 문자 1개에 일치된다. 마찬가지로 \D는 비 숫자 문자 1개에 일치된다.

matchObj = re.search('\d\d', '12abc34')
print(matchObj)
matchObj = re.findall('\d\d\D\D', '11aa11c1')
print(matchObj)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2), match='12'>
['11aa']

첫 번째 출력 결과는 매칭되는 문자열은 두 군데로 ‘12’와 ‘34’이다. 하지만 re.search는 제일 처음 하나만 찾아내기 때문에 하나만 반환하였다. 두 번째 출력 결과는 숫자 2개에 비 숫자 문자 2개가 붙어 있는 문자열 ‘11aa’를 잘 찾아 주었다.

\s, \S: 공백 문자, 비 공백 문자

\s는 공백 문자(빈칸 ‘ ‘, 탭 ‘\t’, 개행 ‘\n’) 1개에 일치된다. 마찬가지로 \S\s의 반대 역할이다. 즉, 공백 문자 이외의 모든 문자 1개에 일치된다.

matchObj = re.search(
    'Oh\smy\sgod\s\S',
    '''Oh my\tgod
!''')
print(matchObj)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11), match='Oh my\tgod\n!'>

\b, \B: 단어 경계, 비 단어 경계

단어 경계 \b 는, 문자 하나와 일치되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단어 경계와 일치된다. 단어 문자와 비 단어 문자 사이와 매칭된다고 보면 된다.

비 단어 경계 \B 는 마찬가지로 반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단어 문자와 단어 문자 사이 혹은 비 단어 문자와 비 단어 문자 사이와 일치된다.

다른 말로는, \b\w에 일치되는 한 문자와 \W에 일치되는 한 문자 사이에서 일치되고, \B\w에 일치되는 두 문자 사이 또는 \W에 일치되는 두 문자 사이에서 일치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으로는 \b\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규표현식 앞에 r prefix를 붙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예시를 보자.

matchObj = re.findall(r'\w\b\W\B', 'ab  c d  == = e= =f')
print(matchObj)

결과

['b ', 'd ', 'e=']

위의 예시는
1) 단어 문자
2) 단어 경계
3) 비 단어 문자
4) 비 단어 경계

순으로 되어 있는 문자열을 찾는다. 위의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단어 문자 + 비 단어 문자 + 비 단어 문자 조합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매칭되는 문자열은 단어 문자 + 비 단어 문자이다.
(주: 여기서 2) 단어 경계는 쓸모가 없다. 이유는 여러분이 알아서 생각하면 된다.)

응용 문제

문제 1: ‘line’과는 일치하지만, ‘outline’나 ‘linear’ 등과는 일치하지 않는 정규표현식을 작성하라. 즉, 정확히 ‘line’ 단어와만 일치해야 한다.

문제 1 정답보기

\bline\b


문제 2: ‘stacatto’에는 일치하지만, ‘cat’이나 ‘catch’, ‘copycat’ 등과는 일치하지 않는 정규표현식을 작성하라.

문제 2 정답보기

\Bcat\B


\b는 단어 경계로, 다음에 일치된다.

  1. 첫 문자가 단어 문자인 경우, 첫 문자 앞에서
  2. 인접한 두 문자 중 하나만 단어 문자인 경우, 그 사이에서
  3. 끝 문자가 단어 문자인 경우, 끝 문자 뒤에서

즉 문자열의 맨 앞과 맨 끝은 비 단어인 것으로 처리된다.

\B는 비 단어 경계로, 다음에 일치된다.

  1. 첫 문자가 비 단어 문자인 경우, 첫 문자 앞에서
  2. 두 단어 문자 사이 또는 두 비 단어 문자 사이에서
  3. 끝 문자가 비 단어 문자인 경우, 끝 문자 뒤에서
  4. 빈 문자열에서

(헷갈리는) 예시를 보자.

print(re.findall(r'\b', 'a'))
print(re.findall(r'\B', 'a'))

print(re.findall(r'\b', 'a aa'))
print(re.findall(r'\B', 'a aa'))

결과

['', '']
[]
['', '', '', '']
['']

각각 어디에서 일치된 것인지 이해해 보기 바란다.

옵션: r prefix

원래 r prefix란 이스케이프 문자 \를 이스케이프 처리 문자가 아닌 일반 리터럴 문자로 인식하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영문 설명을 가져오면 아래와 같다.

When an “r” or “R” prefix is present, a character following a backslash is included in the string without change, and all backslashes are left in the string. For example, the string literal r”\n” consists of two characters: a backslash and a lowercase “n”. String quotes can be escaped with a backslash, but the backslash remains in the string; for example, r”"” is a valid string literal consisting of two characters: a backslash and a double quote; r”" is not a valid string literal (even a raw string cannot end in an odd number of backslashes). Specifically, a raw string cannot end in a single backslash (since the backslash would escape the following quote character). Note also that a single backslash followed by a newline is interpreted as those two characters as part of the string, not as a line continuation.

해석하면,

“r”이나 “R” 접두사가 있으면, \ 뒤에 있는 문자는 문자열에 변화 없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고, 모든 \ 또한 문자열에 남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리터럴 문자열 r”\n”은 \와 소문자 n 2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따옴표 문자열 역시 \가 있으면 이스케이프 처리될 수 있지만, \는 여전히 문자열에 남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r”\"”의 경우 \와 “ 두 개로 구성된 유효한 문자열이다. r”\“는 유효하지 않다(raw string은 홀수 개의 \로 끝날 수 없다). 특별히, raw string은 한 개의 \로 끝날 수 없다(\는 다음에 오는, 즉 문자열의 끝을 알리는 따옴표를 이스케이프 처리하므로). newline이 다음에 오는 한 개의 \는 문자열의 일부로서 두 개의 문자로 취급되지, 개행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예시를 보자.

>>> r'\'
SyntaxError: EOL while scanning string literal
>>> r'\''
"\\'"
>>> '\'
SyntaxError: EOL while scanning string literal
>>> '\''
"'"
>>> 
>>> r'\\'
'\\\\'
>>> '\\'
'\\'
>>> print r'\\'
\\
>>> print r'\'
SyntaxError: EOL while scanning string literal
>>> print '\\'
\

Unicode/Locale dependent 옵션

파이썬3은 기본적으로 한글도 “단어 문자”에 포함되기 때문에 쓸 일이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 옵션들도 소개해 본다.

syntax long syntax inline flag meaning
re.A re.ASCII (?a) {\w, \W, \b, \B}는 ascii에만 일치
re.U re.UNICODE (?u) {\w, \W, \b, \B}는 Unicode에 일치
re.L re.LOCALE (?L) {\w, \W, \b, \B}는 locale dependent

파이썬3은 기본적으로 Unicode를 기준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re.U는 쓸모가 없다. 그러나 호환성을 위해 아직까지는 살아 있는 옵션이다.
아스키에만 일치하는 옵션을 쓰고 싶으면 re.ASCII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조하라.

다른 flags 사용법과 똑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 $, \A, \Z: 문자열 전체 또는 행의 시작이나 끝의 대상을 대조

\A는 문자열 시작을, \Z는 문자열 끝과 일치된다.

이들은 일명 앵커라고 부르는데, 문자와 일치되는 것이 아니라 정규식 패턴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서 그 위치에 일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는 기본적으로 행 시작과 행 끝에 일치된다.

여기서 행은 문자열의 시작과 개행문자 사이, 개행문자와 개행문자 사이, 개행문자와 문자열의 끝 사이 부분이다. 문자열에 개행문자가 없으면 전체 문자열이 한 개의 행이 된다.

^$는 일반적으로 \A\Z 앵커와 효과가 같다. 다른 경우는 옵션을 설정하는 경우인데, re.MULTILINE 옵션을 설정하면 ^$는 문자열 전체의 시작/끝이 아닌 행의 시작/끝에서 일치된다.

print(re.findall('\Aryan\d\Z', 'ryan1'))
print(re.findall('^ryan\d$', 'ryan1'))

print(re.findall('\A ryan\d\s\Z', ' ryan1 \n ryan2 \n rain1 \n ryan3 '))
print(re.findall('^ ryan\d\s$', ' ryan1 \n ryan2 \n rain1 \n ryan3 '))
print(re.findall('^ ryan\d\s$', ' ryan1 \n ryan2 \n rain1 \n ryan3 ', re.M))
print(re.findall('^ ryan\d\s$', ' ryan1 \n ryan2 \n rain1 \n ryan3 ', re.MULTILINE))

결과

['ryan1']
['ryan1']
[]
[]
[' ryan1 ', ' ryan2 ', ' ryan3 ']
[' ryan1 ', ' ryan2 ', ' ryan3 ']

Java, .NET 등에서는 \z 옵션이 있지만, 파이썬에는 bad escape 에러를 보게 되므로 사용하지 말자.

응용으로, 빈 문자열 혹은 빈 행을 검사할 수 있다.

print(re.fullmatch('\A\Z', ''))
print(re.fullmatch('\A\Z', '\n'))
print(re.fullmatch('^$', ''))
print(re.fullmatch('^$', '\n'))
print(re.findall('^$', '\n', re.M))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0), match=''>
None
<_sre.SRE_Match object; span=(0, 0), match=''>
None
['', '']

^, $도 마침표 .처럼 옵션을 인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print(re.findall('(?m)^$', '\n'))

결과

['', '']

참고로, 옵션을 여러 개 쓰려면 |로 OR 연산을 시켜주면 된다.

print(re.findall('^ ryan\d\s$', ' ryan1 \n Ryan2 \n rain1 \n RYAN3 ', re.M | re.IGNORECASE))

결과

[' ryan1 ', ' Ryan2 ', ' RYAN3 ']

위의 예시처럼 full-name과 약자를 같이 써도 되지만, 가독성을 생각한다면 굳이 그렇게 할 이유는 없다.

유니코드 번호

한 글자 일치와 사용법은 같다.

print(re.findall('\u18ff\d', '0᣿1頶᣿2䅄ሲ᣿3456'))

결과

['\u18ff1', '\u18ff2', '\u18ff3']

참고로 ‘\u18ff’는 ‘᣿’이다.


다음 글에서는 다자택일(OR), 반복 등을 다루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