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io Tech Blog search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3. OR, 반복

|

목차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1. Basic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2. 문자, 경계, flags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3. OR, 반복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4. 그룹, 캡처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5. 주석, 치환, 분리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6. 치환 함수, 양방탐색, 조건문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7. 예제(숫자)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8. 예제(단어, 행)
파이썬 정규표현식(re) 사용법 - 09. 기타 기능


이 글에서는 정규표현식 기초와 python library인 re 패키지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글에서 정규표현식은 regex와 같이, 일반 문자열은 ‘regex’와 같이 표시하도록 한다.


정규표현식의 기초: OR, 반복

| : 다자택일

단어 ‘one’, ‘two’, ‘three’ 중 하나에 대응하고 싶다면 |를 쓰면 된다(백슬래시 또는 원화로 되어 있는 \ 키의 shift 버전이다).

matchObj = re.findall('one|two|three', 'one four two three zero')
print(matchObj)

결과

['one', 'two', 'three']

작동 과정을 살펴보자.

  1. 맨 앞에서 바로 ‘one’이 일치된다.
  2. 공백 한 개는 o, t 어느 것에도 일치되지 않으므로 건너뛴다. ‘f’도 마찬가지이다.
  3. ‘four’ 의 ‘o’에 도달했다. o는 일치되기 때문에, ‘u’에 n을 일치시켜본다. 물론 아니다.
  4. 계속 넘어가서 ‘two’의 ‘t’에 도달했다. ‘t’는 t에 일치된다.
  5. ‘w’에서는 wh 중 일치되는 것을 찾는다. 현재 tw까지 일치되었다.
  6. ‘o’까지 일치되어 ‘two`를 찾았다.
  7. 이와 비슷한 과정을 반복하여 ‘three’까지 찾고 종료한다.

일반적으로 |로 나열한 단어들의 순서가 중요하지는 않다. 하지만 중요한 순간이 있다.
다음 예시를 보자.

matchObj = re.findall('one|oneself|onerous', 'oneself is the one thing.')
print(matchObj)

결과

['one', 'one']

‘oneself’가 있음에도 oneself에 일치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이미 ‘one’을 찾아버렸고, 정규식은 overlapping된 부분을 또 찾지 않기 때문에, ‘one’을 찾고 나서 남은 문자열은 ‘self is the one thing.’이다. 따라서 남은 문자열에서는 더 이상 oneself를 찾을 수 없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은 두 가지다. 물론 더 있을 수도 있다.

  1. 당연하게도 더 긴 oneselfone 앞에다 두면 해결된다.
  2. 아니면 단어 경계를 활용한다. \bone\b|\boneself\b로 쓰면 된다.

* : 0회 이상 반복

어떤 문자나 기호 뒤에 *(asterisk)를 붙이면 그 문자가 일치되는 만큼 일치된다. 예를 들어 a*의 경우 ‘a’나 ‘aaa’ 혹은 ‘‘(빈 문자열)과도 일치된다.

예시를 보자.

print(re.match('a*', ''))
print(re.match('a*', 'a'))
print(re.search('a*', 'aaaa'))
print(re.fullmatch('a*', 'aaaaaa'))
print(re.findall('a*', 'aaabaaa aa  '))

matchObj = re.search('<p>.*</p>', '<p> Lorem ipsum... is boring. </p>')
print(matchObj)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0), match=''>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a'>
<_sre.SRE_Match object; span=(0, 4), match='aaaa'>
<_sre.SRE_Match object; span=(0, 6), match='aaaaaa'>
['aaa', '', 'aaa', '', 'aa', '', '', '']
<_sre.SRE_Match object; span=(0, 34), match='<p> Lorem ipsum... is boring. </p>'>

여섯 번째 결과의 경우, 파이썬 버전에 따라 None이 반환될 수도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결과가 보인다. 다섯 번째 실행문이다.

print(re.findall('a*', 'aaabaaa aa  '))
# ['aaa', '', 'aaa', '', 'aa', '', '', '']

빈 문자열이 이상하리만큼 많이 매칭되었다. 굉장히 비직관적인 결과이지만, 빈 문자열에도 일치된다는 것을 생각했을 때 아예 틀린 것은 분명히 아니다.
매칭되는 빈 문자열들은 a가 아닌 다른 문자들과의 경계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될 듯하다. 하지만, 아마 대부분 이것은 원하는 결과가 아닐 것이기 때문에, ‘a’ 덩어리를 찾고 싶다면 다음 메타문자를 보자.

+ : 1회 이상 반복

*과 비슷하지만 무조건 한 번이라도 등장해야 한다. 위와 거의 같은 예시를 보자.

print(re.match('a+', ''))
print(re.match('a+', 'a'))
print(re.search('a+', 'aaaa'))
print(re.fullmatch('a+', 'aaaaaa'))
print(re.findall('a+', 'aaabaaa aa  '))

matchObj = re.search('<p>.+</p>', '<p> Lorem ipsum... is boring. </p>')
print(matchObj)

결과

None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a'>
<_sre.SRE_Match object; span=(0, 4), match='aaaa'>
<_sre.SRE_Match object; span=(0, 6), match='aaaaaa'>
['aaa', 'aaa', 'aa']
<_sre.SRE_Match object; span=(0, 34), match='<p> Lorem ipsum... is boring. </p>'>

아마 이것이 여러분이 원하는 ‘a’ 덩어리를 찾은 결과일 것이다.
빈 문자열이 일치되지 않은 것을 기억하자.

{n, m} : 지정 횟수만큼 반복

중괄호는 지정한 횟수만큼 정규식을 반복시키는 것이다. 이 쓰임으로 중괄호를 쓸 때 쓰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1. {n} : 정확히 n회만큼 반복
  2. {n, m} : n회 이상 m회 이하 반복
  3. {n, } : n회 이상 반복. 무한히 일치될 수 있다.

물론 n은 자연수, m은 n보다 큰 정수이다. 그리 어렵지 않으므로 바로 예시를 보자.

print(re.search('a{3}', 'aaaaa'))
print(re.findall('a{3}', 'aaaaaaaa'))
print(re.findall('a{2,4}', 'a aa aaa aaaa aaaaa'))
print(re.findall('a{2,}', 'a aa aaa aaaa aaaaa'))

결과

<_sre.SRE_Match object; span=(0, 3), match='aaa'>
['aaa', 'aaa']
['aa', 'aaa', 'aaaa', 'aaaa']
['aa', 'aaa', 'aaaa', 'aaaaa']

예상과는 조금 다른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오직 ‘aaa’만을 찾고 싶을 때 a{3}처럼 쓰면 ‘aaaaa’의 일부분인 ‘aaa’에도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히 ‘aaa’만을 찾으려면 \baaa\b처럼 단어 경계를 활용하는 쪽이 좋다.

참고로 {0, }*과 같고, {1,}+와 같다.

01

? : 0회 또는 1회 반복

이 메타문자도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0,1}과 같다.

print(re.findall('ab?a', 'aa aba aaaa'))

결과

['aa', 'aba', 'aa', 'aa']

정규표현식은 항상 최대한 많은 부분을 일치시키려 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참고로, 앞에서 말한 반복 메타문자들(*, +, {n, m}, ? 등)을 정량자 또는 수량자라고 부른다.


Advanced: 탐욕 정량자 vs 나태 정량자

그리고 이런 정량자(수량자)들은 한 가지 중요한 특성이 있다.
일단 전체 문자열이 매치가 되도록 노력하고, 그 선을 지키는 선에서 일치되는 부분에는 최대한 많이 일치시키려고 한다. 즉 기본적으로 모든 정량자들은 탐욕적이며, 가능한 많은 문자열에 매치되려고 한다.

말이 복잡한데, 예시를 보면서 천천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 1번 예시
matchObj = re.search('<p>.*</p>', '<p> Lorem ipsum... is boring. </p>')
print(matchObj.group())

print('# ---------------------------------------------------------------- #')

# 2번 예시
matchObj = re.search('<p>.*</p>', '''
<p> part 1 </p> part 2 </p>
<p> part 3 </p> part 4 </p>
''', re.DOTALL)
print(matchObj.group())

print('# ---------------------------------------------------------------- #')

# 3번 예시
matchObj = re.search('<p>.*?</p>', '''
<p> part 1 </p> part 2 </p>
<p> part 3 </p> part 4 </p>
''', re.DOTALL)
print(matchObj.group())

결과

<p> Lorem ipsum... is boring. </p>
# ---------------------------------------------------------------- #
<p> part 1 </p> part 2 </p>
<p> part 3 </p> part 4 </p>
# ---------------------------------------------------------------- #
<p> part 1 </p>

전체 문자열이 매치가 되도록 노력한다.

  • 여러분은 조금 위에서 Lorem ipsum 예시를 보았을 것이다. 바로 위의 1번 예시는 이를 변형한 것이다.
    사실 마침표 .는 모든 문자에 일치되기 때문에, ‘</p>‘에 해당하는 부분도 마침표에 일치될 수 있다. 만약에 이 부분까지 .에 일치시켜 버린다면, .* 부분이 ‘<p>’ 뒤쪽의 모든 문자를 집어삼켜 버리고, 따라서 정규식의 남은 패턴인 </p> 부분은 대조해볼 문자열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실패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 그러나, 정규식의 정량자들은 역행(backtracking)을 할 줄 안다. 이 말은, *+ 등은 탐욕적이기는 하지만, 전체 문자열에 일치되는 가능성마저 없애버리지는 않는다는 말과 갈다.
    1. 우선 .*가 모든 문자열을 집어삼켜 ‘</p>‘까지 해치웠다. 그러나, 정규식 패턴에는 </p>가 남아있기 때문에, .*는 자신이 집어삼킨 문자열을 하나 뱉어내고, 남은 정규식 패턴 </p>에 대조해보라고 한다.
    2. 마지막 문자 하나인 ‘>‘는 매치되지 않기 때문에, .*는 문자를 하나 더 뱉어낸다. 이제 ‘p>‘와 남은 정규식 패턴 </p>를 비교해보라고 시킨다.
    3. 역시 일치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과정을 정규식 패턴과 뱉어낸 문자열이 일치될 때까지 혹은 모든 문자를 뱉어낼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4. Lorem ipsum 예시의 경우 4개의 문자를 뱉어내면 일치된다. 따라서 모든 문자열이 정규식 패턴과 일치되고, 전체 문자열이 결과로 반환된다.
    5. .*가 먹어치웠던 문자열을 살펴보면 그 경계가 끝까지 갔다가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이름이 역행이다.
  • 이는 2번 예시를 보아도 알 수 있다. .*가 최대로 일치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part 1’이나 ‘part 2’까지 일치되는 것이 아닌 최대로 일치되는 부분인 ‘part 4’까지 일치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3번 예시는 나태 정량자를 보여준다. 나태 정량자는 별다른 것은 없고, 단지 정량자 바로 뒤에 ?를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탐욕적 정량자였던 *는 최대로 일치시키는 대신 문자열은 가장 적게 먹어치우면서 일치되도록 하는 방법을 찾는다. 그래서 딱 ‘part 1’까지만 일치되고, 나머지 문자열은 버려진다.

  • +?, {3, 5}?, ?? 등도 가능하다.
  • 사실 나태 정량자도 역행을 한다. 그러나 역행이 꼭 뒤로 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각 정량자가 선호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갈 때 역행이라고 한다. 따라서 나태 정량자는 우선 최소로 일치하는 부분을 찾은 뒤(빈 문자열), 문자열이 일치될 때까지 역행(문자열 방향으로는 뒤쪽)한다.

그래서 탐욕 정량자와 나태 정량자의 차이는, 유력 대조부를 제일 긴 것을 우선적으로 찾느냐, 제일 짧은 것을 우선적으로 찾느냐의 차이이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탐욕 정량자와 나태 정량자의 일치부가 같아지는 때도 있다. 다만 이때는 검색 순서만이 다를 뿐이다.

역행에 관해서는 나중에 조금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응용 문제

문제 1: 1~8자리 10진수에 일치하는 정규표현식을 작성하라.

문제 1 정답보기

r'\b\d{1,8}\b'


문제 2: 4자리 또는 8자리 16진수에 일치하는 정규표현식을 작성하라. 16진수는 0~9, a~f를 사용한다. 예시는 abcd1992, 7fffffff, 2dfa9a00이다. 윈도우 오류에서 ‘0xC1900101’ 비슷한 에러를 많이 봤을 것이다.

문제 2 정답보기

r'\b[0-9a-f]{4}\b|\b[0-9a-f]{8}\b'


문제 3: 1.2이나 3.72e3, 1.002e-12 같은 수를 부동소수점 수 또는 과학적 표기법으로 표기한 수라고 한다. 이와 같은 수에 일치하는 정규표현식을 작성하라.

문제 3 정답보기

r'\b\d*\.\d+(e-?\d+)?'


파이썬 버전 3.6 기준으로, \b를 쓰려면 r prefix를 붙여 주어야 한다고 했었다.


문제 3의 정답에 아직 설명하지 않은 소괄호 ( )가 있다. 이는 다음 글에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