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io Tech Blog search

BART 논문 설명(BART - Denoising Sequence-to-Sequence Pre-training for Natural Language Generation, Translation, and Comprehension)

|

목차


이 글에서는 Facebook AI에서 발표한 BART: Denoising Sequence-to-Sequence Pre-training for Natural Language Generation, Translation, and Comprehension 논문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BART: Denoising Sequence-to-Sequence Pre-training for Natural Language Generation, Translation, and Comprehension

논문 링크: BART: Denoising Sequence-to-Sequence Pre-training for Natural Language Generation, Translation, and Comprehension

  • 2019년 10월(Arxiv)
  • Mike Lewis, Yinhan Liu, Naman Goyal et al.

Abstract

seq-to-seq 모델을 사전학습시키기 위한 denoising autoencoder인 BART를 제안한다. BART의 학습은

  1. 임의의 noising function으로 텍스트를 변형시킨 것과
  2. 이를 원래대로 복원하도록 모델을 학습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BART는 Transformer 기반 표준 NMT 구조를 가지며 BERTGPT 및 많은 사전학습 schemes를 일반화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noising 기법들을 평가하여 문장의 순서를 임의로 섞는 것과 in-filling scheme(spans of text가 하나의 mask token으로 치환됨)을 사용할 때 가장 성능이 좋음을 발견하였다. BART는 특히 텍스트 생성에 대해 fine-tuned되었을 때 효율적이지만 이해력 테스트에서도 잘 작동한다. GLUE와 SQuAD에서 RoBERTa 이상의 성능을, 6 ROUGE score을 더 높게 얻고 abstractive dialogue, question answering, and summarization tasks에서 SOTA를 달성하는 등 성과가 좋다.

또한 ablation 실험 등을 진행하여 모델의 성능 등을 입증한다.


1. Introduction

Self-supervised 접근법은 NLP task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많이 내었다. 가장 성공적인 방법은 MLM 및 그 변형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특정 task에만 집중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웠다.

본 노문에서는 아주 넓은 범위에 사용할 수 있는, seq-to-seq 모델로 만든 denoising autoencoder인 Bidirectional and Auto-Regressive Transformers, BART를 제안한다. 초록에서 말한 것처럼 BERT, GPT 등의 학습 방법을 일반화한 방식을 사용했음을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다.

이 방식의 이점은 noising할 떄 별 제약없이 다양한 function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초록과 같은 내용이라 일부 생략)

BART는 fine-tuning에 대해 새로운 방식을 생각할 수 있게 한다. Machine Translation에 대해 새로운 scheme을 제안하는데 BART는 몇 개의 추가적인 transformer layer 위에 놓인다. 이 layer들은 특히 외국어를 noised 영어로 번역하도록 학습되고 이는 BART에 전해지고, 따라서 BART를 pre-trained target-side language model로 사용하게 된다. 이 접근법은 WMT Romanian-English benchmark에서 강력한 back-translation MT baseline을 1.1 BLEU score만큼 앞지른다.


2. Model

BART는 임의로 변형된 문서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denoising autoencoder이다. 구현은 corrupted text에 대한 bidirectional encoder와 left-to-right autoregresisve decoder로 구성된 seq-to-seq 모델로 이루어졌다. 사전학습을 위해서는 원본 문서에 대한 NLL loss를 사용하였다.

2.1 Architecture

표준 seq-to-seq Transformer을 기반으로 하되 OpenAI GPT처럼 ReLU를 GeLU($\mathcal{N}(0, 0.02)$)로 바꿔 사용하였다. base 모델은 6 layer encoder, large 모델은 12개를 사용하였다.

구조는 BERT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은

  1. decoder의 각 layer는 encoder의 final hidden layer와 cross-attention을 수행한다.
  2. BERT는 word-prediction을 위해 추가적인 feedforward net을 사용하지만 BART는 그렇지 않다.

전체적으로 BART는 BERT보다 10% 정도 더 많은 pamameter를 갖는다.

2.2 Pre-training BART

Corrupted document를 원복하는 방식으로 사전학습을 진행하는데 reconstruction loss는 decoder의 출력과 원본 문서 간 cross-entropy를 쓴다.

사전학습에 사용한 방법은 다음 5가지이다.

  1. Token Masking: BERT의 것과 같다.
  2. Token Deletion: token을 [MASK] token으로 바꾸는 대신 아예 없애버리는 것으로 모델은 사라진 위치를 찾아야 한다.
  3. Text Infilling: 그 길이가 $\lambda=3$ poisson 분포를 따르는 여러 개의 text spans를 뽑는다. 각 span은 하나의 [MASK]으로 대체된다. SpanBERT에서 제안된 방식이지만, 다른 점은 SpanBERT에서는 다른 분포에서 샘플링을 하며 정확히 같은 길이의 [MASK] token으로 대체한다. Text infilling은 모델이 span에서 얼마나 많은 token이 사라졌는지 예측해야 한다.
  4. Sentence Permutation: 문서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임의로 섞는다. 모델은 원래 순서를 맞춰야 한다.
  5. Document Rotation: 특정 지점을 잘라서 문서를 그 지점부터 시작하도록 변형한다. 모델은 원래 시작점을 찾아야 한다.

3. Fine-tuning BART

BART가 생성한 representation은 downstream applications에서 여러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3.1 Sequence Classification Tasks

같은 입력이 encoder와 decoder 모두에 주어지고, final decoder token의 final hidden state는 새로운 multi-class linear classifier에 입력으로 주어진다. 이는 BERT의 CLS token과 연관되어 있지만 BART에서는 이 추가적인 token을 에 추가하여 decoder에서 token의 representation이 decoder states를 처리할 수 있게 했다. (그림 3.a)

3.2 Token Classification Tasks

SQuAD의 answer endpoint classification와 같이 전체 문서를 encoder와 decoder에 주고 decoder의 top hidden state를 각 단어의 representation으로 사용하였다. 이 representation은 token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3.3 Sequence Generation Tasks

BART는 autoregressive decoder를 갖고 있으므로 abstractive question answering나 summarization와 같은 생성 task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둘 모두 정보를 입력에서 변형된 상태로 복사되며 이는 denoising pre-training objective와 긴밀한 연관이 있다. 여기서 encoder 입력은 input sequence, decoder는 출력을 autoregressive하게 생성한다.

3.4 Machine Translation

BART 모델 전체를 하나의 encoder처럼 생각해서 MT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림 3.b)

정확히는, BART의 encoder embedding layer를 랜덤초기화된 새로운 encoder로 교체하였다. 모델은 end-to-end로 학습되며 새로운 encoder가 외국어 단어를 BART아 de-noise할 수 있는 영어 입력으로 mapping하도록 학습된다. 새로운 encoder는 원래 BART 모델와 다른 vocab을 쓸 수 있다.

source encoder는 2단계로 학습하는데 둘 모두에서 BART 모델의 출력의 cross-entropy loss를 backpropagate한다.

  1. BART를 freeze하고 새로운 encoder, BART positional embeddings, BART encoder의 첫 layer의 self-attention input projection matrix만 update한다.
  2. 이후 반복횟수를 조금만 하여 전체를 update한다.

4. Comparing Pre-training Objectives

목적함수 비교, 데이터셋 및 Task 설명이다.

4.1 Comparison Objectives

여러 pre-training objectives를 최대한 동일하고 공정한 환경에 놓고 비교를 진행했다고 한다.

비교대상: Language Model, Permuted Language Model, Masked Language Model, Multitask Masked Language Model, Masked Seq-to-Seq

4.2 Tasks

  • SQuAD: Wikipedia paragraphs을 사용하는 extractive question answering task이다. 정답은 주어진 document context에서 추출된 text spans이다.
  • MNLI: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을 수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bitext classifitation task
  • ELI5: long-form abstractive question answering dataset
  • XSum: 매우 추상적인 요약문을 포함하는 news summarization dataset
  • ConvAI2: context와 persona 조건을 갖는 dialogue response generation task
  • CNN/DM: news summarization dataset로 요약은 보통 source sentence와 깊은 연관이 있다.

4.3 Results

task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BART + text infilling(혹은 여기에 Sentence shuffling까지) 방식이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5. Large-scale Pre-training Experiments

최근 연구들을 보면 모델 크기가 클수록 성능이 좋아진다. BART도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고, RoBERTa와 같은 크기로 맞추어 실험하였다.

5.1 Experimental Setup

  • 12 layer encoder/decoder
  • hidden size 1024
  • RoBERTa와 비슷하게 batch size는 8000, 반복수는 50만
  • Documents는 GPT-2와 같이 same byte-pair encoding 사용
  • text infilling과 sentence permutation을 사전학습 scheme으로 사용
  • 학습단계에서 10%를 dropout
  • 학습 데이터로 160GB 분량의 news, books, stories, web text 사용

5.2 Discriminative Tasks

표 2는 BART의 성능을 SQuAD, GLUE task에서 다른 모델과 비교한 결과이다. 전반적으로 RoBERTa와 비슷하다.

5.3 Generation Tasks

생성 task에서도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Summarization

  • CNN / DailyMail의 요약은 source sentences들과 비슷한 경향이 있다. Extractive 모델은 특히 이를 잘 다루지만 BART가 더 우세하다.
  • 이에 반해 XSum은 매우 추상적이며 extractive 모델은 여기서 힘을 쓰지 못한다. BART는 점수 수치상 매우 크게 앞선다.

Dialogue

모델은 이전 context와 텍스트로 명시된 persona에 기반해서 응답을 생성해야 하는 task이다.

Abstractive QA

장문의 자유형식 응답 문장을 생성하는 task에서도 기존 모델과 비교한 결과인데 3가지 metric 모두에서 앞서는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데이터셋 자체는 challenging한데 answers는 질문에 의해 weakly specified하기 때문이라 한다.

5.4 Translation


6. Qualitative Analysis

표 7에서 BART의 결과를 볼 수 있다.

  • WikiNews 기사에서 가져온 예시들로 모델의 학습 데이터에 있을 가능성을 제거한 상태이다.
  • 첫 문장은 대체로 기사를 요약하는 내용이므로 이를 빼고 진행하였다.
  • 모델의 출력은 꽤 유창하고 문법적으로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상당히 추상적이며 일부 구절은 그대로 가져온 부분이 있다.
  • 조금 부족하기는 하나 BART의 사전학습 방식이 자연어 이해와 생성을 꽤 잘 한다는 결과라 볼 수 있다고 저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 Transformer, ELMo, OpenAI GPT, BERT
  • UniLM은 BERT를 mask의 ensemble로 fine-tune한 것으로 일부는 오직 왼쪽방향 context만 허용되었다. BART와 같이, UniLM은 generative task와 discriminative task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차이점은 UniLM의 예측은 조건부 독립이지만 BART는 autoregressive하게 진행된다.
  • MASS는 아마도 BART와 가장 비슷한 모델이다. 연속된 span of token이 maked되고 이를 추론하는 사전학습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token들이 전혀 겹치지 않게 encoder와 decoder에 들어가 discriminative task에 약하다.
  • XL-Net은 순서가 섞인 masked token을 auto-regressive하게 예측하는 방식으로 BERT를 확장했다. 이는 왼쪽과 오른쪽 context를 모두 고려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반해 BART의 decoder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만 사전학습 단계에서 고려한다.

8. Conclusions

Corrupted documents를 원래대로 복원하는 사전학습 방식을 가진 BART를 제안하였다. Discriminative task에서 RoBERTa와 비슷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text generation task에서는 SOTA를 달성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또 새로운 사전학습 방식을 탐구할 예정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