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io Tech Blog search

Conditional Variational AutoEncoder (CVAE) 설명

|

본 글에서는 Variational AutoEncoder를 개선한 Conditional Variational AutoEncoder (이하 CVAE)에 대해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먼저 논문을 리뷰하면서 이론적인 배경에 대해 탐구하고, Tensorflow 코드(이번 글에서는 정확히 구현하지는 않았다.)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VAE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1. Learning Structured Output Representation using Deep Conditional Generative Models

1.1. Introduction

구조화된 Output 예측에서, 모델이 확률적인 추론을 하고 다양한 예측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단지 분류 문제에서처럼 many-to-one 함수를 모델링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Input에서 많은 가능한 Output을 연결짓는 모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CNN이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사실 CNN은 복수의 mode를 갖는 분포를 모델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Output Representation Learning과 구조화된 예측을 위한 새로운 Deep Conditional Generative Model이 필요하다. 즉, 고차원의 Output Space를 Input 관측값에 조건화되어 있는 생성 모델로 모델링해야하는 것이다. 변분 추론Directed Graphical Model의 최근 발전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CVAE를 새로운 모델로서 제안한다. 이 모델은 Directed Graphical Model로서 Input 관측값이 Output을 생성하는 Gaussian 잠재 변수에 대한 Prior를 조절한다. 모델은 조건부 Log Likelihood를 최대화하도록 학습하게 되며, 우리는 이 과정을 SGVB: Stochastic Gradient Variational Bayes의 프레임워크 안에서 설명할 것이다. SGVB에 대해 미리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조하도록 하라. 또한 더욱 Robust한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Input Noise Injection이나 Multi-scale Prediction Training Method 등을 소개할 것이다.

실험에서 본 모델의 효과성을 보이도록 할 것인데, 특히 데이터가 일부만 주어졌을 때 구조화된 Output을 모델링하는 데에 있어 확률적 뉴런의 중요성을 보여줄 것이다. 데이터셋은 Caltech-UCSD Birds 200과 LFW를 사용하였다.

(중략)

1.3. Preliminary: Variational Auto-Encoder

이 Chapter 역시 대부분 생략하도록 하겠다. 자세한 설명은 글 서두에 있는 링크를 클릭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최종적으로 VAE의 목적함수만 정리하고 넘어가겠다.

[\tilde{\mathcal{L}}{VAE} (\theta, \phi; \mathbf{x}^{(i)}) = -KL (q{\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frac{1}{L} \Sigma_{l=1}^L logp_{\theta} (\mathbf{x z^{(l)}})]

1.4. Deep Conditional Generative Models for Structured output Prediction

변수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Input 변수 x, Output 변수 y, 잠재 변수 z가 바로 그것이다. $\mathbf{x}$ 가 주어졌을 때, $\mathbf{z}$ 는 아래와 같은 사전 확률로 부터 추출된다.

[p_{\theta}(\mathbf{z x})]

그리고 output $\mathbf{y}$ 는 아래 분포로 부터 생성된다.

[p_{\theta}(\mathbf{y x, z})]

baseline CNN과 비교하여 잠재 변수 $\mathbf{z}$ 는 Input이 주어졌을 때 Output 변수에 대한 조건부 분포에서 복수의 mode를 모델링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제안된 CGM (조건부 생성 모델) 을 one-to-many mapping 모델링에 적합하게 만든다. 위 식에 따르면 잠재 변수의 사전 확률은 Input 변수에 의해 조절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제한은 잠재 변수를 Input 변수에 독립적으로 만들어 해소할 수 있다.

[p_{\theta} (\mathbf{z x}) = p_{\theta} (\mathbf{z})]

Deep CGM은 조건부 Conditional Log Likelihood를 최대화하면서 학습된다. 이 목적 함수는 종종 intractable 하기 때무에 우리는 SGVB 프레임워크를 적용할 것이다. ELBO는 아래와 같다.

[log p_{\theta} (\mathbf{y x}) \geq \tilde{\mathcal{L}}{VAE} (\mathbf{x, y} ; \theta, \phi) = -KL( q{\theta} (\mathbf{z x, y})   p_{\theta} (\mathbf{z x}) ) + E_{q_{\phi} (\mathbf{z} \mathbf{x, y})} { logp_{\theta} (\mathbf{y} \mathbf{x, z}) }]

물론 위 식의 우변의 두 번째 항은 Monte-Carlo Estimation을 통해 경험적으로 값을 얻을 수 있다. 이 기법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조하라. 다시 포현하면 아래와 같다.

[\tilde{\mathcal{L}}{VAE} (\mathbf{x, y} ; \theta, \phi) = -KL( q{\theta} (\mathbf{z x, y})   p_{\theta} (\mathbf{z x}) ) + \frac{1}{L} \Sigma_{l=1}^L logp_{\theta} (\mathbf{x z^{(l)}})]

$L$ 은 Sample의 개수이며 이 때,

[\mathbf{z}^{(l)} = g_{\phi} (\mathbf{x, y} , {\epsilon}^{(l)} ), {\epsilon}^{(l)} \sim \mathcal{N} (\mathbf{0}, \mathbf{I})]

본 논문은 이 모델을 CVAE라고 부를 것이다. 이 모델은 복수의 MLP로 구성되는 데 크게 3가지의 요소를 갖고 있다.

1) Recognition Network

[q_{\phi} (\mathbf{z x, y})]

2) Prior Network

[p_{\theta} (\mathbf{z x})]

3) Generation Network

[p_{\theta} (\mathbf{y x, z})]

이 네트워크 구조를 디자인할 때, baseline CNN 위에 CVAE의 구성요소를 올릴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d)를 확인해보자.

직접적인 Input $\mathbf{x}$ 뿐만 아니라 CNN으로부터 만들어진 최초의 예측 값 $\hat{\mathbf{y}}$ 는 Prior Network로 투입된다. 이러한 순환 연결은 구조화된 Output 예측 문제에서 효과적으로 합성곱 네트워크를 깊게 만들면서 이전의 추측을 수정하여 예측값을 연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적용된 바 있다. 우리는 또한 이러한 순환 연결이, 설사 단 한 번의 반복에 그치더라도, 굉장한 성능 향상을 이끌어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후에 설명할 것이다.

1.4.1. Output Inference and Estimation of the Conditional Likelihood

모델 파라미터가 학습되면 CGM의 생성 과정을 따라 Input으로부터 Output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게 된다.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서 우리는 $\mathbf{z}$ 에 대한 Sampling 없이 Deterministic Inference를 수행할 수 있다.

[\mathbf{y^*} = \underset{y}{argmax} p_{\theta} (\mathbf{y x, z^}), \mathbf{z^} = E[\mathbf{z x}]]

또는 사전 확률로부터 복수의 $\mathbf{z}$ 를 추출한 뒤 사후 확률의 평균을 사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mathbf{y^*} = \underset{y}{argmax} \frac{1}{L} \Sigma_{l=1}^L p_{\theta} (\mathbf{y x, z^{(l)}}), \mathbf{z}^{(l)} \sim p_{\theta} (\mathbf{z x})]

CGM을 평가하는 또 다른 방법은 테스트 데이터의 조건부 Likelihood를 비교하는 것이다. 아주 직관적인 방법은 사전 확률 네트워크로부터 $\mathbf{z}$ 를 추출하고 Likelihood의 평균을 취하는 것이다. 물론 이 방법은 Monte-Carlo Sampling이다.

[p_{\theta} (\mathbf{y x}) \approx \frac{1}{S} \Sigma_{s=1}^S p_{\theta} (\mathbf{y x, z^{(s)}}), \mathbf{z}^{(s)} \sim p_{\theta} (\mathbf{z x})]

사실 이 몬테카를로 샘플링은 굉장히 많은 샘플을 필요로 한다. 이것이 어려울 경우 Importance Sampling을 통해 조건부 Likelihood를 추정할 수 있다.

[p_{\theta} (\mathbf{y x}) \approx \frac{1}{S} \Sigma_{s=1}^S \frac{p_{\theta} (\mathbf{y x, z^{(s)}}) p_{\theta} (\mathbf{z^{(s)} x}) } { q_{\phi} (\mathbf{ z^{(s)} x, y }) } , \mathbf{z}^{(s)} \sim q_{\phi} (\mathbf{ z x, y })]

1.4.2. Learning to predict structured output

SGVB가 Deep Generative Model을 학습하는 데에 있어 효과적 것이 증명되긴 하였지만, 학습 과정에서 형성된 Output 변수들에 대한 Conditional Auto-Encoding은 테스트 과정에서 예측을 할 때 최적화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즉, CVAE가 학습을 할 때 아래와 같은 인식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인데,

[q_{\phi} (\mathbf{z x, y})]

테스트 과정에서는 아래와 같은 Prior 네트워크로부터 sample $\mathbf{z}$ 를 추출하여 예측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p_{\theta} (\mathbf{z x})]

인식 네트워크에서 $\mathbf{y}$ 는 Input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의 목표는 $\mathbf{y}$ 의 Reconstruction인데, 이는 사실 예측보다 쉬운 작업이다.

[\tilde{\mathcal{L}}{VAE} (\mathbf{x, y} ; \theta, \phi) = -KL( q{\theta} (\mathbf{z x, y})   p_{\theta} (\mathbf{z x}) ) + \frac{1}{L} \Sigma_{l=1}^L logp_{\theta} (\mathbf{x z^{(l)}})]

위 식에서 Negative 쿨백-라이블리 발산 항은 2개의 파이프라인의 차이를 줄이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학습 및 테스트 과정에서 잠재 변수의 Encoding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있다. 바로 목적 함수의 Negative 쿨백-라이블리 발산 항에 더욱 큰 가중치를 할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상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 (1 + \beta) KL( q_{\theta} (\mathbf{z x, y})   p_{\theta} (\mathbf{z x}) ), \beta \ge 0]

그러나 본 논문에서의 실험에서 이와 같은 조치는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대신, 학습과 테스트 과정 상의 예측 파이프라인을 일치(consistent) 시키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Prior 네트워크와 인식 네트워크를 동일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그렇게 하면 아래와 같은 목적함수를 얻게 된다.

[\tilde{\mathcal{L}}{GSNN} (\mathbf{x, y} ; \theta, \phi) = \frac{1}{L} \Sigma{l=1}^L logp_{\theta} (\mathbf{x z^{(l)}})]

[\mathbf{z}^{(l)} = g_{\phi} (\mathbf{x, y} , {\epsilon}^{(l)} ), {\epsilon}^{(l)} \sim \mathcal{N} (\mathbf{0}, \mathbf{I})]

우리는 이 모델을 GSNN: Gaussian Stochastic Neural Network라고 부를 것이다. GSNNCVAE에서의 인식 네트워크와 Prior 네트워크를 동일하게 만듦으로써 만들 수 있다. 따라서 CVAE에서 사용하였던 Reparameterization Trick과 같은 학습 트릭은 GSNN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비슷하게 테스트 과정에서의 추론과 Conditional Likelihood 추정 또한 CVAE의 그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두 모델의 목적 함수를 결합하여 다음과 같은 Hybrid 목적 함수를 얻을 수 있다.

[\tilde{\mathcal{L}}{hybrid} = \alpha \tilde{\mathcal{L}}{CVAE} + (1-\alpha) \tilde{\mathcal{L}}_{GSNN}]

이 때 $\alpha$는 두 목적 함수 사이의 균형을 맞춰준다. 만약 $\alpha=1$ 이면, 그냥 CVAE의 목적 함수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만약 반대로 $\alpha = 0$ 이면, 우리는 그냥 인식 네트워크 없이 GSNN을 학습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1.4.3. CVAE for Image Segmentation and Labelling

Semantic Segmentation은 중요한 구조화된 Output 예측 과제이다. 이 Chapter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Robust한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특히 관측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잘 일반화될 수 있는 high-capacity 신경망을 학습시키기 위해 우리는 1) Multi-scale 예측 목적 함수와 2) 구조화된 Input Noise와 함께 신경망을 학습시킬 것을 제안한다.

1.4.3.1. Training with multi-scale prediction objective

이미지 크기가 커질 수록, 정교하게 픽셀 레벨의 예측을 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워진다. Multi-scale 접근 방법은 Input에 대해 Multi-scale 이미지 피라미드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Multi-scale Output 예측을 위해서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다른 scale로 Output을 예측하는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것을 제안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global-to-loca, coarse-to-fine-grained한 픽셀 레벨의 semantic label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위 그림은 3가지 scale로 학습을 진행하는 모습에 대한 예시이다.

1.4.3.2. Training with Input Omission Noise

깊은 신경망의 뉴런에 Noise를 추가하는 것은 대표적인 규제 방법 중 하나이다. 우리는 Semantic Segmentation에 대해서 간단한 규제 테크닉을 제안한다. Input 데이터 $\mathbf{x}$ 를 Noise Process에 따라 오염시켜 $\tilde{\mathbf{x}}$ 로 만들고 목적함수 $\tilde{\mathcal{L} (\mathbf{\tilde{x}, y})}$ 로 네트워크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Noise Process는 임의로 정할 수 있는데, 본 문제에서는 Random Block Omission Noise를 제안한다. 특히 우리는 이미지의 40% 이하의 면적에 대해 사각형의 마스크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그 부분의 픽셀 값을 0으로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Block 폐쇄 혹은 결측값을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예측 문제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제안된 전략은 또한 Denoising 학습 방법과 연관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는데, 우리는 Input 데이터에만 Noise를 투사하고 Missing Input을 재구성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1.5. Experiments

(논문 원본 참조)

1.6. Conclusion

구조화된 Output 변수에 대해 복수의 Mode를 갖는 분포를 모델링하는 것은 구조화된 예측 문제에 대해 좋은 성과를 내는 데에 있어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가우시안 잠재 변수를 이용하여 Conditional Deep Generative Model에 근거한 확률적 신경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scalable하며 추론과 학습에 있어 효율적이다. 우리는 Output 공간이 복수의 Mode를 갖는 분포에 대해 확률적인 추론을 하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하였고, Segmentation 정확도, 조건부 Log Likelihood 추정, 생성된 Sample의 시각화 측면에서 모두 뛰어난 성과를 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 Tensorflow로 확인

VAE를 다루었던 이전 글에서 크게 바뀐 부분은 없다.
본래 이 논문에 나와있는 내용에 충실히 따라서 구현을 해야겠지만… 이 논문 이후에 나온 다른 논문들에 더 집중하기 위해 본 글에서는 간단히 $y$ 를 Input으로 추가했을 때 어떤 효과가 나오는지 정도만 확인을 하도록 하겠다.

Convolutional 형태를 취했던 이전 모델과 달리 $y$ 를 Input으로 넣기 위해 모두 Flatten한 상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번에는 Label 데이터도 같이 불러온다.

train_dataset = (tf.data.Dataset.from_tensor_slices(
    (tf.cast(train_images, tf.float32), tf.cast(train_labels, tf.float32)))
                 .shuffle(train_size).batch(batch_size))
test_dataset = (tf.data.Dataset.from_tensor_slices(
    (tf.cast(test_images, tf.float32), tf.cast(test_labels, tf.float32)))
                .shuffle(test_size).batch(batch_size))

모델은 아래와 같다. encode, decode 단계에서 $y$ 가 Input으로 추가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class CVAE(tf.keras.Model):
    def __init__(self, latent_dim):
        super(CVAE, self).__init__()
        self.latent_dim = latent_dim
        self.encoder = tf.keras.Sequential(
            [
                tf.keras.layers.InputLayer(input_shape=(28*28 + 1)),
                tf.keras.layers.Flatten(),
                tf.keras.layers.Dense(units=512, activation='relu'),
                tf.keras.layers.Dropout(rate=0.2),
                tf.keras.layers.Dense(units=256, activation='relu'),
                tf.keras.layers.Dropout(rate=0.2),
                tf.keras.layers.Dense(units=64, activation='relu'),
                tf.keras.layers.Dense(units=latent_dim + latent_dim),
            ])

        self.decoder = tf.keras.Sequential(
            [
                tf.keras.layers.InputLayer(input_shape=(latent_dim+1)),
                tf.keras.layers.Dense(units=64, activation='relu'),
                tf.keras.layers.Dropout(rate=0.2),
                tf.keras.layers.Dense(units=256, activation='relu'),
                tf.keras.layers.Dropout(rate=0.2),
                tf.keras.layers.Dense(units=512, activation='relu'),
                tf.keras.layers.Dense(units=784),
            ])

    @tf.function
    def encode(self, x, y):
        inputs = tf.concat([x, y], 1)
        mean, logvar = tf.split(self.encoder(inputs), num_or_size_splits=2, axis=1)
        stddev = 1e-8 + tf.nn.softplus(logvar)
        return mean, stddev

    def reparameterize(self, mean, stddev):
        eps = tf.random.normal(shape=mean.shape)
        z = mean + eps * stddev
        return z

    @tf.function
    def decode(self, z, y, apply_sigmoid=False):
        inputs = tf.concat([z, y], 1)
        logits = self.decoder(inputs)
        if apply_sigmoid:
            probs = tf.sigmoid(logits)
            return probs
        return logits

학습 및 테스트 코드는 아래와 같다.

optimizer = tf.keras.optimizers.Adam(1e-4)

def compute_loss(model, x, y):
    x = tf.reshape(x, [-1, 784])
    y = tf.reshape(y, [-1, 1])
    mean, stddev = model.encode(x, y)
    z = model.reparameterize(mean, stddev)
    x_logit = model.decode(z, y, True)
    x_logit = tf.clip_by_value(x_logit, 1e-8, 1-1e-8)

    # Loss
    marginal_likelihood = tf.reduce_sum(x * tf.math.log(x_logit) + (1 - x) * tf.math.log(1 - x_logit), axis=[1])
    loglikelihood = tf.reduce_mean(marginal_likelihood)

    kl_divergence = -0.5 * tf.reduce_sum(1 + tf.math.log(1e-8 + tf.square(stddev)) - tf.square(mean) - tf.square(stddev),
                                         axis=[1])
    kl_divergence = tf.reduce_mean(kl_divergence)

    ELBO = loglikelihood - kl_divergence
    loss = -ELBO

    return loss


@tf.function
def train_step(model, x, y, optimizer):
    with tf.GradientTape() as tape:
        loss = compute_loss(model, x, y)
    gradients = tape.gradient(loss, model.trainable_variables)
    optimizer.apply_gradients(zip(gradients, model.trainable_variables))

    return loss


epochs = 30
latent_dim = 2
model = CVAE(latent_dim)

# Train
for epoch in range(1, epochs + 1):
    train_losses = []
    for x, y in train_dataset:
        loss = train_step(model, x, y, optimizer)
        train_losses.append(loss)

    print('Epoch: {}, Loss: {:.2f}'.format(epoch, np.mean(train_losses)))


# Test
def generate_images(model, test_x, test_y):
    test_x = tf.reshape(test_x, [-1, 784])
    test_y = tf.reshape(test_y, [-1, 1])
    mean, stddev = model.encode(test_x, test_y)
    z = model.reparameterize(mean, stddev)

    predictions = model.decode(z, test_y, True)
    predictions = tf.clip_by_value(predictions, 1e-8, 1 - 1e-8)
    predictions = tf.reshape(predictions, [-1, 28, 28, 1])

    fig = plt.figure(figsize=(4, 4))

    for i in range(predictions.shape[0]):
        plt.subplot(4, 4, i + 1)
        plt.imshow(predictions[i, :, :, 0], cmap='gray')
        plt.axis('off')

    plt.show()


num_examples_to_generate = 16
random_vector_for_generation = tf.random.normal(shape=[num_examples_to_generate, latent_dim])
test_x, test_y = next(iter(test_dataset))
test_x, test_y = test_x[0:num_examples_to_generate, :, :, :], test_y[0:num_examples_to_generate, ]

for i in range(test_x.shape[0]):
    plt.subplot(4, 4, i + 1)
    plt.imshow(test_x[i, :, :, 0], cmap='gray')
    plt.axis('off')

plt.show()

generate_images(model, test_x, test_y)

VAE와 동일하게 Epoch 30이후의 결과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이미지와 상당히 유사하게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oss도 127까지 줄어들었다. 다만 좀 흐릿하긴 하다.)


Reference

논문 원본

Comment  Read more

Variational AutoEncoder (VAE) 설명

|

본 글은 2014년에 발표된 생성 모델인 Variational AutoEncoder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코드로 구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VAE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는 Variational Inference (변분 추론)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본 글은 크게 3가지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Chapter1에서는 VAE 논문을 리뷰할 것이다. Chapter2에서는 먼저 논문을 간단히 요약하고, 논문의 부록에 수록되어 있었던 미분 가능한 KL-Divergence에 대한 예시를 소개할 것이다. (요약본에 대해서 먼저 보고 싶다면 2.1을 먼저 보라.) Chapter3에서는 Tensorflow를 통해 VAE를 구현할 것이다.


1. Auto-Encoding Variational Bayes 논문 리뷰

1.1. Introduction

연속형 잠재 변수와 파라미터가 다루기 힘든 사후 분포를 갖는 방향성 확률 모델에 대해 효율적인 근사 추론 및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Variational Bayesian 접근법은 다루기 힘든 사후 분포에 대한 근사의 최적화를 내포한다.

불행히도, 일반적인 Mean-Field 접근법은 근사적 사후 분포에 대해 기댓값의 analytic한 해결법을 요구하는데 이는 보통 굉장히 intractable한 방법이다. 본 논문은 Variational Lower Bound(ELBO)의 Reparameterization이 Lower Bound의 미분 가능한 불편향 estimator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보여줄 것이다. 이 Stochastic Gradient Variational Bayes: SGVB estimator는 연속형 잠재변수나 파라미터를 갖고 있는 대부분의 모델에 대해 효율적인 근사 사후 추론을 가능하게 하며, 표준 Stochastic Gradient Ascent 스킬을 사용하여 최적화하기에 굉장히 편리하다.

iid 데이터셋이고, 데이터 포인트 별로 연속형 잠재변수를 갖고 있는 경우에 대해 본 논문은 Auto-Encoding VB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에서는 Simple Ancestral Sampling을 이용하여 근사 사후 추론을 하는 인식 모델을 최적화하기 위해 SGVB estimator를 사용하여 추론과 학습을 효율적으로 해낸다. 이 과정은 MCMC와 같이 데이터포인트 별로 반복적인 추론을 행하여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학습된 근사 사후 추론 모델은 recognition, denoising, representation, visualization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알고리즘이 인식(recognition) 모델에 사용될 때, 이를 Variational Auto-Encoder라고 부를 것이다.


1.2. Method

본 섹션에서는 연속형 잠재 변수를 내포하는 다양한 방향성 그래픽 모델(Directed Graphical Model)에서 Stochastic 목적 함수인 Lower Bound Estimator를 끌어내는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데이터포인트 별 잠재변수는 iid한 상황이라는 가정 하에 본 논문에서는 (전역) 파라미터에 대해 Maximum Likelihood와 Maximum A Posteriori 추론을 수행하고 잠재변수에 대해 Variational Inference를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온라인 러닝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고정된 데이터셋을 사용할 것이다.

1.2.1. Problem Scenario

N개의 Sample을 가진 $X$ 라는 데이터가 있다고 해보자. 본 논문은 이 데이터가 관측되지 않은 연속형 확률 변수 $\mathbf{z}$ 를 내포하는 어떤 Random Process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과정은 2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mathbf{z}^{(i)} \sim Prior: p_{\theta^*}(\mathbf{z})]

[\mathbf{x}^{(i)} \sim Conditional Dist: p_{\theta^*}(\mathbf{x} \mathbf{z})]

(여기서 $\mathbf{z}$는 원인, $\mathbf{x}$는 결과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 때 우리는 위 2개의 확률이 모두 아래 두 분포의 Parametric Families of Distributions에서 왔다고 가정한다.

[p_{\theta}(\mathbf{z}), p_{\theta}(\mathbf{x} \mathbf{z})]

이들의 확률밀도함수는 거의 모든 $\theta, \mathbf{z}$에 대해 미분가능하다고 전제한다.

불행히도, 이러한 과정의 많은 부분은 우리가 직접 확인하기 어렵다. True 파라미터인 $\theta^*$ 와 잠재 변수의 값 $\mathbf{z}^{(i)}$ 는 우리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은 주변 확률이나 사후 확률에 대한 단순화를 위한 일반적인 가정을 취하지 않고, 아래에서 제시한 상황처럼 분포가 intractable하고 큰 데이터셋을 마주하였을 경우를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1) Intractability

[\int p_{\theta}(\mathbf{z}) p_{\theta}(\mathbf{x} \mathbf{z}) d\mathbf{z}]

(1) Marginal Likelihood $p_{\theta}(\mathbf{x})$ 의 적분은 위 식으로 표현되는데, 이 식이 intractable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는 Evidence가 적분이 불가능한 경우를 의미한다.

(2) True Posterior Density가 intractable한 경우 (EM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없음)

True Posterior Density는 아래와 같다.

[p_{\theta}(\mathbf{z} \mathbf{x}) = p_{\theta}(\mathbf{x} \mathbf{z}) p_{\theta}(\mathbf{z})/p_{\theta}(\mathbf{x})]

(3) 어떠한 합리적인 Mean-Field VB 알고리즘을 위한 적분이 불가능한 경우

이러한 Intractability는 굉장히 흔하며, 복잡한 Likelihood 함수를 갖는 신경망 네트워크에서 발견할 수 있다.

[Likelihood: p_{\theta}(\mathbf{x} \mathbf{z})]

2) A Large Dataset

데이터가 너무 크면 배치 최적화는 연산량이 매우 많다. 우리는 작은 미니배치나 데이터포인트에 대해 파라미터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싶은데, Monte Carlo EM과 같은 Sampling Based Solution은 데이터 포인트별로 Sampling Loop를 돌기 때문에 너무 느리다.

위 시나리오에서 설명한 문제들에 대해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파라미터 $\theta$ 에 대한 효율적인 근사 ML/MAP 추정을 제안한다. 이 파라미터들은 숨겨진 Random Process를 흉내내고 실제 데이터를 닮은 인공적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두 번째로, 파라미터 $\theta$ 의 선택에 따라 관측값 $\mathbf{x}$ 가 주어졌을 때 잠재 변수 $\mathbf{z}$ 에 대한 효율적인 근사 사후 추론을 제안한다.

세 번째로, 변수 $\mathbf{x}$ 에 대한 효율적인 근사 Marginal Inference를 제안한다. 이는 $\mathbf{x}$ 에 대한 prior이 필요한 모든 추론 task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인식 모델이 필요하다.

[q_{\phi}(\mathbf{z} \mathbf{x})]

이 모델은 intractable한 True Posterior의 근사 버전이다.

기억해야 할 것이, Mean-Field Variational Inference에서의 근사 Posterior와는 다르게 위 인식 모델은 꼭 계승적(factorial)일 필요도 없고, 파라미터 $\phi$ 가 닫힌 형식의 기댓값으로 계산될 필요도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 모델 파라미터인 $\phi$ 와 생성 모델 파라미터인 $\theta$를 동시에 학습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구분 기호
인식 모델 파라미터 $\phi$
생성 모델 파라미터 $\theta$

코딩 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관측되지 않은 변수 $\mathbf{z}$ 는 잠재 표현 또는 code라고 해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 모델을 Encoder라고 부를 것이다. 왜냐하면 데이터 포인트 $\mathbf{x}$ 가 주어졌을 때 이 Encoder가 데이터 포인트 $\mathbf{x}$ 가 발생할 수 code $\mathbf{z}$의 가능한 값에 대한 분포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우리는 생성 모델을 확률적 Decoder라고 명명할 것인데, 왜냐하면 code $\mathbf{z}$ 가 주어졌을 때 이 Decoder가 상응하는 가능한 $\mathbf{x}$ 의 값에 대해 분포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Encoder: q_{\phi}(\mathbf{z} \mathbf{x})]
[Decoder: p_{\theta}(\mathbf{x} \mathbf{z})]

1.2.2. The Variational Bound

Marginal Likelihood는 각 데이터 포인트의 Marginal Likelihood의 합으로 구성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log p_{\theta}(\mathbf{x}^{(1)}, …, \mathbf{x}^{(N)}) = \sum_{i=1}^N log p_{\theta} (\mathbf{x}^{(i)})]

그런데 데이터 포인트 하나에 대한 Marginal Likelihood는 아래와 같이 재표현이 가능하다.

[log p_{\theta} (\mathbf{x}^{(i)}) = D_{KL} (q_{\phi}(\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mathbf{x}^{(i)})) + \mathcal{L} (\theta, \phi; \mathbf{x}^{(i)})]

우변의 첫 번째 항은 True Posterior의 근사 KL Divergence이다. 이 KL Divergence는 음수가 아니기 때문에, 두 번째 항인 $\mathcal{L}(\theta, \phi; \mathbf{x}^{(i)})$ 는 i번째 데이터 포인트의 Marginal Likelihood의 Varitaional Lower Bound라고 한다. 변분 추론 글을 읽어보고 왔다면 알겠지만, 이는 Evidence의 하한 값을 뜻하기도 하기 때문에 ELBO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등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log p_{\theta} (\mathbf{x}^{(i)}) \geq \mathcal{L}(\theta, \phi; \mathbf{x}^{(i)}) = E_{q_{\phi} (\mathbf{z} \mathbf{x})} [-logq_{\phi}(\mathbf{z} \mathbf{x}) + log p_{\theta}(\mathbf{x}, \mathbf{z})]]

이 식은 또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mathcal{L} (\theta, \phi; \mathbf{x}^{(i)}) =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E_{q_{\phi} (\mathbf{z} \mathbf{x}^{(i)})} [log p_{\theta} (\mathbf{x}^{(i)} \mathbf{z}) ]]

우리는 Lower Bound $L(\theta, \phi; \mathbf{x}^{(i)})$ 를 Variational 파라미터와 생성 파라미터인 $\phi, \theta$ 에 대하여 미분하고 최적화하고 싶은데, 이 Lower Bound의 $\phi$ 에 대한 Gradient는 다소 복잡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Monte Carlo Gradient Estimator는 아래와 같다.

[\triangledown_{\phi} E_{q_{\phi} (\mathbf{z} \mathbf{x})} [f(\mathbf{z})] = E_{q_{\phi} (\mathbf{z})} [f( \mathbf{z} \triangledown_{q_{\phi} (\mathbf{z})} log q_{\phi} (\mathbf{z}) ] \simeq \frac{1}{L} \Sigma_{l=1}^L f(\mathbf{z}) \triangledown_{q_{\phi} (\mathbf{z}^{(l)})} log q_{\phi} (\mathbf{z}^{(l)})]
[Where: \mathbf{z}^{(l)} \sim q_{\phi} (\mathbf{z} \mathbf{x}^{(i)})]

그런데 이 Gradient Estimator는 굉장히 큰 분산을 갖고 있어서 우리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1.2.3. The SGVB estimator and AEVB algorithm

이 섹션에서는 Lower Bound의 실용적인 추정량과 파라미터에 대한 그 추정량의 미분 값을 소개할 것이다.

[q_{\phi} (\mathbf{z} \mathbf{x})]

일단 우리는 위와 같은 근사 Posterior를 가정한다. 다만 x에 대한 조건부를 가정하지 않은 케이스인 $q_{\phi}(\mathbf{z})$ 와 같은 경우에도 같은 테크닉을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자. Posterior를 추론하는 Fully Variational Bayesian 방법론은 본 논문의 부록에 소개되어 있다.

위에서 설정한 근사 Posterior에 대해 1.2.4 섹션에서 정한 certain mild conditions 하에 우리는 그 근사 Posterior를 따르는 확률 변수 $\tilde{\mathbf{z}}$ 를 Reparameterize 할 수 있는데, 이는 Auxiliary Noise 변수 $\epsilon$ 의 Diffrentiable Transformation($g_{\phi} (\epsilon, \mathbf{x})$)를 통해 이루어진다.

[\tilde{\mathbf{z}} = q_{\phi} (\mathbf{z} \mathbf{x})]

[\tilde{\mathbf{z}} \sim g_{\phi} (\epsilon, \mathbf{x}), \epsilon \sim p(\epsilon)]

다음 Chapter를 보면 적절한 $p(\epsilon)$ 분포와 $g_{\phi} (\epsilon, \mathbf{x})$ 함수를 선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 이제 이 Chapter 서두에서 언급한 근사 Posterior에 대해 어떤 함수 $f(\mathbf{z})$ 기댓값의 Monte Carlo 추정량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E_{q_{\phi} (\mathbf{z} \mathbf{x})} [f(\mathbf{z})] = E_{p(\epsilon)} [f(g_{\phi} (\epsilon, \mathbf{x}^{(i)}))] \approx \frac{1}{L} \Sigma_{l=1}^L f(g_{\phi} (\epsilon^{(l)}, \mathbf{x}^{(i)}))]

이는 실제로 계산하기 어려운 어떤 함수에 대해 $L$ 개의 Sample를 뽑아 이에 대한 근사치로 추정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제 이 테크닉을 ELBO에 대해 적용하면 SGVB: Stochastic Gradient Variational Bayes 추정량을 얻을 수 있다.

[\tilde{\mathcal{L}}^A (\theta, \phi ; \mathbf{x}^{(i)}) \simeq \mathcal{L} (\theta, \phi ; \mathbf{x}^{(i)})]

[\tilde{\mathcal{L}}^A (\theta, \phi ; \mathbf{x}^{(i)}) = \frac{1}{L} \Sigma_{l=1}^L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 logq_{\phi} (\mathbf{z}^{(i, l)} \mathbf{x}^{(i)})]

[g_{\phi} (\epsilon^{(i, l)}, \mathbf{x}^{(i)}), \epsilon^{(l)} \sim p(\epsilon)]

잠시 아래 식에서 쿨백-라이블리 발산에 주목해보자.

[\mathcal{L} (\theta, \phi; \mathbf{x}^{(i)}) =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E_{q_{\phi} (\mathbf{z} \mathbf{x}^{(i)})} [log p_{\theta} (\mathbf{x}^{(i)} \mathbf{z}) ]]

이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은 종종 analytic 하게 적분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오직 Expected Reconstruction Error만이 샘플링에 의한 추정을 필요로하게 된다. Expected Reconstruction Error 항은 아래 식을 의미한다.

[E_{q_{\phi} (\mathbf{z} \mathbf{x}^{(i)})} [ logp_{\theta} (\mathbf{x}^{(i)} \mathbf{z}) ]]

쿨백-라이블리 발산 항은 근사 PosteriorPrior $p_{\theta}(z)$ 에 가깝게 만들어서 $\phi$ 를 규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KL: q_{\phi} (\mathbf{z} \mathbf{x}) \to p_{\theta}(\mathbf{z})]

이러한 과정을 SGVB 추정량의 두 번째 버전으로 이어지는데, 이 추정량은 일반적인 추정량에 비해 작은 분산을 갖고 있다.

[\tilde{\mathcal{L}}^B (\theta, \phi ; \mathbf{x}^{(i)}) =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frac{1}{L} \Sigma_{l=1}^L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이 때

[\mathbf{z}^{(i, l)} = g_{\phi} (\epsilon^{(i, l)}, \mathbf{x}^{(i)}), \epsilon^{(l)} \sim p(\epsilon)]

$N$ 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갖고 있는 데이터셋 $X$ 에서 복수의 데이터 포인트가 주어졌을 때 우리는 미니배치에 기반하여 전체 데이터셋에 대한 Marginal Likelihood Lower Bound의 추정량을 구성할 수 있다.

[\mathcal{L} (\theta, \phi ; X) \simeq \tilde{\mathcal{L}}^M (\theta, \phi ; X^M) = \frac{N}{M} \Sigma_{i=1}^M \tilde{\mathcal{L}} (\theta, \phi ; \mathbf{x}^{(i)})]

이 때

[X^M = [\mathbf{x}^{i}]_{i=1}^M]

미니배치 $X^M$ 은 전체 데이터셋 $X$ 에서 랜덤하게 뽑힌 샘플들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 미니 배치 사이즈 $M$ 이 (예를 들어 100) 충분히 크면 데이터 포인트 별 sample의 크기인 $L$ 이 1로 설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triangledown_{\theta, \phi} \tilde{\mathcal{L}} (\theta; X^M)]

위와 같은 derivate가 도출될 수 있고, 이에 따른 Gradients는 SGDAdagrad와 같은 확률적 최적화 방법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기본적인 Stochastic Gradients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아래 목적 함수를 보면 Auto-Encoder와의 연결성이 더욱 뚜렷해진다.

[\tilde{\mathcal{L}}^B (\theta, \phi ; \mathbf{x}^{(i)}) =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frac{1}{L} \Sigma_{l=1}^L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Prior로부터 나온 근사 Posterior에 대한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인 첫 번째 항은 Regularizer의 역할을 하며, 두 번째 항은 Expected Negative Reconstruction Error의 역할을 하게 된다.

$g_{\phi} (.)$ 라는 함수는 데이터 포인트 $\mathbf{x}^{(i)}$ 와 Random Noise Vector $\epsilon^{(l)}$ 을 데이터 포인트 $\mathbf{z}^{(i, l)}$ 을 위한 근사 Posterior로 부터 추출된 Sample로 매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ilde{\mathbf{z}} = q_{\phi} (\mathbf{z} \mathbf{x}), \tilde{\mathbf{z}} \sim g_{\phi} (\epsilon, \mathbf{x}), \epsilon \sim p(\epsilon)]

그 후, 이 Sample $\mathbf{z}^{(i, l)}$ 은 아래 함수의 Input이 된다.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이 함수는 $\mathbf{z}^{(i, l)}$ 이 주어졌을 때 생성 모델 하에서 데이터 포인트 $\mathbf{x}^{(i)}$ 의 확률 밀도 함수와 동일하다. 이 항은 Auto-Encoder 용어에서 Negative Reconstruction Error에 해당한다.

1.2.4. The Reparamaterization Trick

[q_{\phi} (\mathbf{z} \mathbf{x})]

위에 제시된 근사 Posterior로부터 Sample을 생성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른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질적인 Parameterization 트릭은 굉장히 단순하다. $\mathbf{z}$ 가 연속형 확률 변수이고 아래와 같이 어떤 조건부 분포를 따른다고 하자.

[\mathbf{z} \sim q_{\phi} (\mathbf{z} \mathbf{x})]

그렇다면 이제 이 확률 변수 $\mathbf{z}$ 를 다음과 같은 Deterministic 변수라고 표현할 수 있다.

[\mathbf{z} = g_{\phi} (\epsilon, \mathbf{x})]

이 때 $\epsilon$ 은 독립적인 Marginal $p(\epsilon)$ 을 가지는 보조 변수이고, $g_{\phi} (.)$ 함수는 $\phi$ 에 의해 parameterized 되는 vector-valued 함수이다.

Reparameterization은 매우 유용하다. 왜냐하면 근사 Posterior의 기댓값을 $\phi$에 대해 미분 가능한 기댓값의 Monte Carlo 추정량으로 재표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z = g_{\phi} (\epsilon, \mathbf{x})$ 라는 Deterministic Mapping이 주어졌을 때 우리는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q_{\phi} (\mathbf{z} \mathbf{x}) \prod_i d z_i = p(\epsilon) \prod_i d\epsilon_i]

이는 각 Density에 derivatives를 곱한 것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위에서 $dz_i$ 라고 표기한 것은, 무한소에 대한 수식이기 때문이며 사실 $d\mathbf{z} = \prod_i dz_i$ 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식을 구성할 수 있다.

[\int q_{\phi} (\mathbf{z} \mathbf{x}) f(\mathbf{z}) d\mathbf{z} = \int p(\epsilon) f(\mathbf{z}) d\mathbf{z} = \int p(\epsilon) f(g_{\phi} (\epsilon, \mathbf{x}) ) d\epsilon]

마지막 식을 보면 $\mathbf{z}$ 를 Deterministic 하게 표현하여 오로지 $\epsilon, \mathbf{x}$ 로만 식을 구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미분 가능한 추정량을 구성할 수 있다.

[f(g_{\phi} (\epsilon, \mathbf{x}) ) d\epsilon \simeq \frac{1}{L} \Sigma_{l=1}^L f( g_{\phi} (\mathbf{x}, \epsilon^{(l)}) )]

사실 이는 이전 Chapter에서 ELBO의 미분 가능한 추정량을 얻기 위해 적용하였던 트릭이다.

예를 들어 단변량 정규분포의 케이스를 생각해보자.

[z \sim p(z x) = \mathcal{N} (\mu, \sigma^2)]

이 경우 적절한 Reparameterization은 $z = \mu + \sigma \epsilon$이다. 이 때 $\epsilon$은 $\mathcal{N} (0, 1)$을 따르는 보조 Noise 변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E_{\mathcal{N} (z; \mu, \sigma^2)} [f(z)] = E_{\mathcal{N} (\epsilon; 0, 1)} [f(\mu + \sigma \epsilon)] \simeq \frac{1}{L} \Sigma^L_{l=1} f(\mu + \sigma \epsilon^{(l)}), \epsilon^{(l)} \sim \mathcal{N} (0, 1)]

그렇다면 어떤 근사 Posterior에 따라 미분 가능한 변환 함수 $g_{\phi}(.)$ 와 보조 변수 $\epsilon \sim p(\epsilon)$ 은 어떻게 선택하는가? 기본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Tractable Inverse CDF를 선택한다. $\epsilon \sim \mathcal{U} (\mathbf{0}, \mathbf{I})$ 일 때, $g_{\phi} (\epsilon, \mathbf{x})$ 는 근사 Posterior의 Inverse CDF라고 해보자. 예를 들면, Exponential, Cauchy, Logistic, Rayleigh, Pareto, Weibull, Reciprocal, Gompertz, Gumbel, Erlang 분포가 있다.

두 번째로, 정규 분포 예시와 유사하게 어떠한 location-scale family of distributions에 대해 우리는 location=0, scale=1인 표준 분포를 보조 변수 $\epsilon$ 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g(.)$ = location + scale * $\epsilon$ 이 될 것이다. 예를 들면, Laplace, Elliptical, T, Logistic, Uniform, Triangular, Gaussian이 있다.

마지막으로 분포를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종종 확률 변수를 보조 변수의 다른 변환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g-Normal, Gamma, Dirichlet, Beta, Chi-Squared, F가 있다.

이 3가지 방법이 모두 통하지 않는다면, Inverse CDF의 좋은 근사법은 PDF에 비해 많은 연산량과 소요 시간을 요한다.


1.3. Example: Variational Auto-Encoder

이번 Chapter에서는 확률론적 Encoder (생성 모델의 Posterior의 근사) 와 AEVB 알고리즘을 통해 파라미터 $\phi$ 와 $\theta$ 가 Jointly 최적화되는 신경망에 대한 예시를 다루도록 할 것이다.

잠재 변수에 대한 PriorCentered Isotropic Multivariate Gaussian $p_{\theta} (\mathbf{z}) = \mathcal{N} (\mathbf{z}; \mathbf{0}, \mathbf{I})$ 라고 하자. 이 경우에서는 Prior에 파라미터가 없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자.

[p_{\theta} (\mathbf{x} \mathbf{z})]

위 분포는 다변량 정규 분포 혹은 베르누이 분포(각각 실수 데이터, 또는 Binary 데이터 일때)로 설정하고, 분포의 파라미터는 Multi Layer Perceptron에서 $\mathbf{z}$ 로 계산된다.

[p_{\theta} (\mathbf{z} \mathbf{x}), q_{\phi} (\mathbf{z} \mathbf{x})]

이 경우 위 식의 왼쪽 부분인 True Posterior는 intractable하다. 위 식의 오른쪽 부분인 근사 Posterior에 더 많은 자유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True(but intractable) Posterior가 Approximately Diagonal Covariance를 가진 근사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우리는 Variational Approximate Posterior가 Diagonal Covariance 구조를 가진 다변량 정규분포라고 설정할 수 있다.

[log q_{\phi} (\mathbf{z} \mathbf{x}^{(i)}) = log \mathcal{N} (\mathbf{z}; {\mu}^{(i)}, {\sigma}^{2(i)} {I})]

이 때 근사 Posterior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MLP의 Output이다. 이 때 MLP는 Variational Parameter인 $\phi$ 와 데이터 포인트 $\mathbf{x}^{(i)}$ 의 비선형적 함수라고 생각할 수 있다.

1.2.4 에서 설명하였듯이, 우리는 다음과 같이 근사 Posterior에서 Sampling을 한다.

[\mathbf{z}^{(i, l)} \sim q_{\phi} (\mathbf{z} \mathbf{x}^{(i)})]

이 때 아래 사실을 이용한다.

[\mathbf{z}^{(i, l)} = g_{\phi} (\mathbf{x}^{(i)} , {\epsilon}^{(l)} ) = {\mu}^{(i)} + {\sigma}^{(i)} \odot {\epsilon}^{(l)}, {\epsilon}^{(l)} \sim \mathcal{N} (\mathbf{0}, \mathbf{I})]

이 모델에서 Prior근사 Posterior는 정규 분포를 따른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전 Chapter에서 보았던 추정량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은 추정 없이 계산되고 미분될 수 있다.

[\mathcal{L} (\theta, \phi, \mathbf{x}^{(i)}) \simeq \frac{1}{2} \Sigma_{j=1}^J (1 + log( (\sigma_j^{(i)})^2 ) - (\mu_j^{(i)})^2 - (\sigma_j^{(i)})^2 ) + \frac{1}{L} \Sigma_{l=1}^L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이 때

[\mathbf{z}^{(i, l)} = g_{\phi} (\mathbf{x}^{(i)} , {\epsilon}^{(l)} ) = {\mu}^{(i)} + {\sigma}^{(i)} \odot {\epsilon}^{(l)}, {\epsilon}^{(l)} \sim \mathcal{N} (\mathbf{0}, \mathbf{I})]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바로 위에 있는 Decoding Term은 우리가 모델링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베르누이 또는 정규분포 MLP가 된다.


Wake-Sleep 알고리즘은 연속적인 잠재 변수를 갖고 있는 같은 문제를 갖고 있는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론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이 알고리즘은 True Posterior를 근사하기 위해 인식 모델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이 알고리즘의 경우 동시에 발생하는 2개의 목적함수를 최적화해야 하기 때문에 Marginal Likelihood의 최적화에 적합하지 않다. 이 알고리즘은 이산적인 잠재변수를 다루는 모델에 적합하다. Wake-Sleep 알고리즘의 데이터 포인트 별 계산 복잡도는 AEVB와 같다.

Stochastic Variational Inference는 주목 받는 알고리즘이다. 이 논문에서는 2.1 장에서 Naive Gradient Estimator의 높은 분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Control Variate Scheme을 소개하였고, 이를 PosteriorExponential Family Approximation에 적용하였다.

AEVB 알고리즘은 Variational Objective로 학습되는 Directed Probabilistic ModelAuto-Encoder 사이의 연결성을 밝혀준다. 선형적인 Auto-EncoderGenerative Linear-Gaussian 모델의 특정 종류 사이의 연결성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왔다. 이 논문PCA가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Linear-Gaussian ModelMaximum Likelihood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특히 매우 작은 $\epsilon$ 일 때)

[p(\mathbf{z}) = \mathcal{N}(0, \mathbf{I}), p(\mathbf{x} \mathbf{z}) = \mathcal{N}( \mathbf{x}; \mathbf{Wz}, \epsilon \mathbf{I} )]

Auto-Encoder와 관련된 연구 중에서 이 논문은 unregularized auto-encoder는 input $X$ 와 잠재 표현 $Z$ 의 Mutual Information의 Maximum Lower Bound라는 것을 보였다. Mutual Information을 최대화하는 것은 결국 조건부 엔트로피를 최대화하는 것과 같은데, 이 조건부 엔트로피는 autoencoding 모델 하에서 데이터의 expected loglikelihood에 의해 lower bounded된다. (Negative Reconstruction Error)

그러나 이 Reconstruction 기준은 유용한 표현을 학습하기에는 sufficient하지 않다. denoising, contractive, sparse autoencoder 변인들이 Auto-Encoder로 하여금 더 유용한 표현을 학습하도록 제안되었다.

SGVB 목표함수는 Variational Bound에 의해 좌우되는 규제화 항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불필요한 규제화 하이퍼 파라미터들은 포함하지 않는다.

Predictive Sparse Decomposition과 같은 Encoder-Decoder 구조 역시 본 논문에서 영감을 받은 방법론이다. Generative Stochastic Network를 발표한 이 논문에서는 Noisy autoencoder가 데이터 분포로부터 Sampling을 하는 Markov Chain의 Transition Operator를 학습한다는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다른 논문에서는 Deep Boltzmann 머신과 함께 인식 모델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비정규화된 모델들에 타겟팅되어 있거나 희소 코딩 모델에 있어 제한적이며,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Directed Probabilisitic Model의 일반적인 경우를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차별화 된다.


1.5. Experiments

(논문 참조)

1.6. Conclusion

본 논문에서 Variational Lower Bound의 새로운 추정량인 SGVB를 새롭게 소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연속적인 잠재 변수들에 대한 효율적인 근사적 추론을 가능하게 해준다. 제안된 추정량은 직접적으로 미분이 가능하고 표준적인 Stochastic Gradient 방법들을 사용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iid 데이터셋과 연속적인 잠재 변수에 한해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추론과 학습 방법인 AEVB: Auto-Encoding VB = VAE를 제안하였는데, 이 알고리즘은 SGVB 추정량을 사용하여 근사적인 추론을 행하는 모델이다. 이론적인 장점은 실험 결과에 반영되어 있다.


2. 보충 설명

2.1. VAE 요약

우리가 풀고 싶은 문제는 이것이다. 연속적인 잠재 변수가 존재한다고 할 때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과 추론을 행하고 싶다. 그런데 문제가 존재한다.

[p_{\theta} (\mathbf{x}), p_{\theta} (\mathbf{z} \mathbf{x}), p_{\theta} (\mathbf{x} \mathbf{z})]

위와 같은 Evidence, Posterior, Likelihood가 intractable한 경우가 매우 흔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데이터셋이 크다면 이들에 대해 배치 최적화나 Monte-Carlo Sampling을 통한 추론을 행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새로운 인식 모델이 제안된다. 이 모델은 True Posterior를 근사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방법론을 Variational Inference 혹은 Variational Bayes라고 부른다.

[q_{\phi} (\mathbf{z} \mathbf{x})]

기본적으로 ELBO를 최대화하는 $\theta, \phi$ 를 찾는 것으로 근사가 이루어진다.

[\theta^, \phi^ = argmax_{\theta, \phi} \Sigma_{i=1}^{N=1} \mathcal{L} (\theta, \phi ; \mathbf{x}^{(i)})]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찾는 analytic한 전통적인 방법은 Coordinate Ascent Mean-Field Variational Inference이다. 글 서두에서도 밝혔듯이 이에 대한 내용은 이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여러 단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factorial한 표현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와 같이 intractable한 Likelihood를 갖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GVB 추정량을 제안하고 있다.

SGVB는 파라미터의 Gradient를 구해 Stochastic하게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ELBO에서 $\phi$ 의 Gradient를 얻는 것은 다소 복잡하다. 따라서 Monte Carlo 추정량을 얻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또한 분산이 너무 커서 직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채택한 방법이 근사 Posterior를 따르는 확률 변수 $\tilde{\mathbf{z}}$ 에 대해 Reparameterization을 행하는 것이다. 근사 Posterior에서 직접 $\mathbf{z}$ 를 Sampling 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 Noise 변수 $\epsilon$ 을 사용하여 미분 가능한 분포에서 Deterministic하게 정해지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tilde{\mathbf{z}} = g_{\phi} (\epsilon, x), \epsilon \sim p(\epsilon)]

기존의 ELBO는 아래와 같다.

[\mathcal{L} (\theta, \phi; \mathbf{x}^{(i)}) =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E_{q_{\phi} (\mathbf{z} \mathbf{x}^{(i)})} [log p_{\theta} (\mathbf{x}^{(i)} \mathbf{z}) ]]

지금부터 2가지 케이스가 존재한다. 만약 첫 번째 항인 쿨백-라이블리 발산이 analytic하게 적분이 되지 않는다면 위 식 전체를 Monte-Carlo 추정을 통해 구해야 한다. 만약 가능하다면, 오직 두 번째 항만을 Monte-Carlo 추정을 통해 구하면 된다. (방금 전 분산이 커져서 사용하기 어렵다고 했던 부분은, $\mathbf{z}$ 를 근사 Posterior로부터 직접 Sampling을 할 때의 이야기이다.)

첫 번째 케이스(A)를 살펴보자. ELBO는 아래와 같이 다시 표현할 수 있다.

[\mathcal{L}(\theta, \phi; \mathbf{x}^{(i)}) = E_{q_{\phi} (\mathbf{z} \mathbf{x})} [-logq_{\phi}(\mathbf{z} \mathbf{x}) + log p_{\theta}(\mathbf{x}, \mathbf{z})]]

그대로 Monte-Carlo 추정을 시행하면 아래와 같은 SGVB 추정량을 얻을 수 있다.

[\mathcal{L} (\theta, \phi ; \mathbf{x}^{(i)}) \simeq \tilde{\mathcal{L}}^A (\theta, \phi ; \mathbf{x}^{(i)}) = \frac{1}{L} \Sigma_{l=1}^L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 logq_{\phi} (\mathbf{z}^{(i, l)} \mathbf{x}^{(i)})]

이제 두 번째 케이스(B)를 살펴보자. 쿨백-라이블리 발산이 적분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므로, 두 번째 항인 Expected Reconstruction Error 만이 Sampling에 의한 Monte-Carlo 추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참고로 첫 번째 항은 Regualizer의 역할을 수행한다.

[\tilde{\mathcal{L}}^B (\theta, \phi ; \mathbf{x}^{(i)}) =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frac{1}{L} \Sigma_{l=1}^L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이 때

[\mathbf{z}^{(i, l)} = g_{\phi} (\epsilon^{(l)}, \mathbf{x}^{(i)}), \epsilon^{(l)} \sim p(\epsilon)]

$\mathbf{z}^{(i, l)}$ 은 위 목적 함수(SGVB-B)의 두 번째 항의 Input이다. 이 데이터 포인트는 $g_{\phi} (\epsilon^{(i)}, \mathbf{x}^{(i)})$ 에서 Sampling 되는 것이며 이 $g_{\phi} (.)$ 라는 함수는 일반적으로 일변량 정규분포로 설정된다. ($g_{\phi} (\epsilon, x) = \mu + \sigma \epsilon$) 이렇게 하면, 위 목적함수를 최적화하고 역전파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2.2. Solution of Negative KL-Divergence

이전 Chapter에서 SGVB-B를 구할 때,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이 analytic하게 적분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Prior근사 Posterior 모두 정규분포로 설정해보자.

[p_{\theta} (\mathbf{z}) = \mathcal{N} (0, \mathbf{I}), q_{\phi} (\mathbf{z} \mathbf{x}^{(i)}) \sim Normal]

$J$ 는 $\mathbf{z}$ 의 차원이라고 할 때, Negative 쿨백-라이블리 발산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int q_{\theta} (\mathbf{z}) (log p_{\theta}(\mathbf{z}) - log q_{\theta}(\mathbf{z} \mathbf{x}^{(i)})) d\mathbf{z} = \frac{1}{2} \Sigma_{j=1}^J (1 + log( (\sigma_j^{(i)})^2 ) - (\mu_j^{(i)})^2 - (\sigma_j^{(i)})^2 )]

왜냐하면,

2.3. MLP’s as Probabilistic Encoders and Decoders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Decoder는 Gaussian Output을 반환할 수도, Bernoulli Output을 반환할 수도 있다. 두 경우 논문의 부록에 잘 설명되어 있다.

베르누이 분포일 경우

이 때 $f_{\sigma}(.)$ 함수는 elementwise sigmoid 활성화 함수이다.

정규 분포일 경우


3. Tensorflow로 VAE 구현

Tensorflow 홈페이지에는 (흔히 그렇듯) MNIST 예제로 VAE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코드도 깔끔하고 설명도 어느 정도 되어 있기 때문에 참고하기를 추천하며, 이번 Chapter 역시 그 가이드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음을 밝힌다. 다만 Tensorflow 홈페이지에서 제시한 예시는 SGVB-A를 사용하고 있는데, 본문을 읽어보면 단순한 예시를 들기 위해 ELBO 전체에 대해 Monte-Carlo 추정을 시행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Chapter에서는 SGVB-B를 활용하여 Loss Function을 설계할 것이다.

먼저 모델을 정의해보자.

class CVAE(tf.keras.Model):
    def __init__(self, latent_dim):
        super(CVAE, self).__init__()
        self.latent_dim = latent_dim
        self.encoder = tf.keras.Sequential(
            [
                tf.keras.layers.InputLayer(input_shape=(28, 28, 1)),
                tf.keras.layers.Conv2D(filters=32, kernel_size=3, strides=(2, 2), activation='relu'),
                tf.keras.layers.Conv2D(filters=64, kernel_size=3, strides=(2, 2), activation='relu'),
                tf.keras.layers.Flatten(),
                # No activation
                tf.keras.layers.Dense(latent_dim + latent_dim),
            ])

        self.decoder = tf.keras.Sequential(
            [
                tf.keras.layers.InputLayer(input_shape=(latent_dim, )),
                tf.keras.layers.Dense(units=7*7*32, activation=tf.nn.relu),
                tf.keras.layers.Reshape(target_shape=(7, 7, 32)),
                tf.keras.layers.Conv2DTranspose(filters=64, kernel_size=3, strides=2, padding='same', activation='relu'),
                tf.keras.layers.Conv2DTranspose(filters=32, kernel_size=3, strides=2, padding='same', activation='relu'),
                # No activation
                tf.keras.layers.Conv2DTranspose(filters=1, kernel_size=3, strides=1, padding='same'),
            ])

    @tf.function
    def sample(self, eps=None):
        if eps is None:
            eps = tf.random.normal(shape=(100, self.latent_dim))
        return self.decode(eps, apply_sigmoid=True)

    def encode(self, x):
        # encoder의 Output은 (batch_size, latent_dim * 2) 이다. 
        # 각 mini-batch에서 이를 반으로 쪼갠다.
        # logvar: Linear Layer를 통과한 후 음수의 값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표기한다.
        mean, logvar = tf.split(self.encoder(x), num_or_size_splits=2, axis=1)
        stddev = 1e-8 + tf.nn.softplus(logvar)
        return mean, stddev

    def reparameterize(self, mean, stddev):
        # 보조 노이즈 변수: eps
        eps = tf.random.normal(shape=mean.shape)
        z = mean + eps * stddev
        return z

    def decode(self, z, apply_sigmoid=False):
        logits = self.decoder(z)
        if apply_sigmoid:
            probs = tf.sigmoid(logits)
            return probs
        return logits

optimizer = tf.keras.optimizers.Adam(1e-4)

모델의 구조는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Prior근사 Posterior가 모두 정규 분포라는 가정 하에 Negative KL-Divergence는 아래와 같다.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frac{1}{2} \Sigma_{j=1}^J (1 + log( \sigma_j^{(i)} )^2 - (\mu_j^{(i)})^2 - (\sigma_j^{(i)})^2 )]

그리고 2.3을 참고했을 때 다음과 같이 Log Likelihood를 얻을 수 있다.

[logp_{\theta} (\mathbf{x} \mathbf{z}) = \Sigma_{i=1}^{D} x_i log y_i + (1-x_i) * log(1 - y_i)]

자 그럼 이제 SGVB-B를 정확히 구해보자. ($J$ 는 잠재 변수의 차원이다.)

[\tilde{\mathcal{L}}^B (\theta, \phi ; \mathbf{x}^{(i)}) = -D_{KL} (q_{\phi} (\mathbf{z} \mathbf{x}^{(i)})   p_{\theta} (\mathbf{z}) ) + \frac{1}{L} \Sigma_{l=1}^L log p_{\theta} (\mathbf{x}^{(i)} \mathbf{z}^{(i, l)})]

[= \frac{1}{2} \Sigma_{j=1}^J (1 + log( (\sigma_j^{(i)})^2 ) - (\mu_j^{(i)})^2 - (\sigma_j^{(i)})^2 ) + \frac{1}{L}\Sigma_{l=1}^L x_i log y_i + (1-x_i) * log(1 - y_i)]

이를 코드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def compute_loss(model, x):
    mean, stddev = model.encode(x)
    z = model.reparameterize(mean, stddev)
    x_logit = model.decode(z, True)
    x_logit = tf.clip_by_value(x_logit, 1e-8, 1-1e-8)

    # Loss
    marginal_likelihood = tf.reduce_sum(x * tf.math.log(x_logit) + (1 - x) * tf.math.log(1 - x_logit), axis=[1, 2])
    loglikelihood = tf.reduce_mean(marginal_likelihood)

    kl_divergence = -0.5 * tf.reduce_sum(1 + tf.math.log(1e-8 + tf.square(stddev)) - tf.square(mean) - tf.square(stddev),
                                         axis=[1])
    kl_divergence = tf.reduce_mean(kl_divergence)

    ELBO = loglikelihood - kl_divergence
    loss = -ELBO

    return loss

학습 및 테스트 코드는 아래와 같다.

@tf.function
def train_step(model, x, optimizer):
    with tf.GradientTape() as tape:
        loss = compute_loss(model, x)
    gradients = tape.gradient(loss, model.trainable_variables)
    optimizer.apply_gradients(zip(gradients, model.trainable_variables))

    return loss


epochs = 50
latent_dim = 2
model = CVAE(latent_dim)

# Train
for epoch in range(1, epochs + 1):
    train_losses = []
    for train_x in train_dataset:
        loss = train_step(model, train_x, optimizer)
        train_losses.append(loss)

    print('Epoch: {}, Loss: {:.2f}'.format(epoch, np.mean(train_losses)))

    # metric = tf.keras.metrics.Mean()
    # for test_x in test_dataset:
    #     metric(compute_loss(model, test_x))
    # elbo = -metric.result()


# Test
def generate_images(model, test_sample, random_sample=False):
    mean, stddev = model.encode(test_sample)
    z = model.reparameterize(mean, stddev)

    if random_sample:
        predictions = model.sample(z)
    else:
        predictions = model.decode(z, True)

    predictions = tf.clip_by_value(predictions, 1e-8, 1 - 1e-8)

    fig = plt.figure(figsize=(4, 4))

    for i in range(predictions.shape[0]):
        plt.subplot(4, 4, i + 1)
        plt.imshow(predictions[i, :, :, 0], cmap='gray')
        plt.axis('off')

    plt.show()


num_examples_to_generate = 16
random_vector_for_generation = tf.random.normal(shape=[num_examples_to_generate, latent_dim])
test_sample = next(iter(test_dataset))[0:num_examples_to_generate, :, :, :]

for i in range(test_sample.shape[0]):
    plt.subplot(4, 4, i + 1)
    plt.imshow(test_sample[i, :, :, 0], cmap='gray')
    plt.axis('off')

plt.show()

generate_images(model, test_sample, False)

실제로 학습을 시켜보면, Loss가 155까지는 빠르게 떨어지고, 그 이후에는 아주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구현한 Convolutional VAE의 경우 성능은 좀 아쉽다. 아주 미세하게 숫자를 구분해 내지는 못한다. 아래의 이미지는 Epoch 30 이후의 결과이다.

원본

생성본


References

1) https://arxiv.org/abs/1312.6114
2) https://ratsgo.github.io/generative%20model/2018/01/27/VAE/
3) https://www.youtube.com/watch?v=SAfJz_uzaa8
4) https://taeu.github.io/paper/deeplearning-paper-vae/
5) https://dnddnjs.github.io/paper/2018/06/20/vae2/
6) https://www.tensorflow.org/tutorials/generative/cvae

Comment  Read more

Monte Carlo Approximation (몬테카를로 근사 방법) 설명

|

이번 글에서는 Monte Carlo 근사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 것이다. 사실 개념 자체는 간단하니 가볍게 파악해보록 하자. 본 글은 Kevin P.Murphy의 Machine Learning: A Probabilistic Perspective 내용을 번역 및 요약한 것임을 밝힌다.


1. Monte Carlo Approximation

일반적으로 변수 변환 공식을 사용하여 확률 변수의 함수의 분포를 계산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그러나 몬테카를로 근사법은 이에 대한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어떤 분포로부터 $S$ 개의 Sample $x_1, …, x_s$ 를 추출하였다고 하자. 이 Sample에 기반하여 Empirical Distribution인 $[f(x_i)]_{i=1}^S$ 를 이용하여 우리는 $f(X)$ 라는 분포를 근사할 수 있다. 이를 몬테카를로 적분이라고 부른다.

확률 변수의 어떠한 함수에 대해서도 기댓값을 구할 수 있는 것이 몬테카를로 근사법이다. Sample을 뽑고 이에 대해 Arithmetic Mean을 취하면 된다.

[E[f(X)] = \int f(x) p(x) dx \approx \frac{1}{S} \Sigma_{i=1}^S f(x_i)]

f 함수를 변환시켜 다음과 같은 여러 특성도 얻을 수 있다.

[\bar{x} = \frac {1}{X} \Sigma_{i=1}^S x_i \to E[X]]

[\Sigma_{i=1}^S (x_i - \bar{x})^2 \to var[X]]

[\frac{1}{S} {x_i \le c} \to p(X \le c)]

[median {x_1, …, x_s} \to median(X)]


2. Example: estimating $\pi$ by Monte Carlo Integration

몬테카를로 적분하면 떠오르는 가장 기본적인 예제이다. 원의 면적을 구해보자. 원의 면적을 $I$ 라고 해보자. Indicator Function을 사용하여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I = \int_{-r}^{r} \int_{-r}^{r} \mathbb{I} (x^2 + y^2 \le r^2) dxdy]

Indicatior Funciton을 $f(x, y)$ 라고 하고, 원 밖에 점이 찍히면 0, 안에 찍히면 1의 값을 갖는 함수라고 하자. $p(x), p(y)$ 는 $-r, r$ 구간 내에 존재하는 균일 분포 함수이다. 따라서 $p(x) = p(y) = \frac{1}{2r}$ 이다.

[I = (2r)(2r) \int \int f(x, y) p(x) p(y) dx dy]

[\approx 4r^2 \frac{1}{S} \Sigma_{i=1}^S f(x_i, y_i)]


3. Accuracy of Monte Carlo Approximation

기본적으로 몬테카를로 근사법은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실제 평균을 $\mu = E[f(X)]$ 라고 하자. 그리고 몬테카를로 근사법에 의한 근사 평균을 $\hat{\mu}$ 라고 하자. 독립된 표본이라는 가정 하에

[\hat{\mu} - \mu \to \mathcal{N} (0, \frac{\sigma^2}{S})]

[\sigma^2 = var[f(X)] = E[f(X)^2] - E[f(X)]^2]

위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한 결과이다. 물론 $\sigma^2$ 는 미지의 값이다. 그러나 이 또한 몬테카를로 적분에 의해 근사될 수 있다.

[\hat{\sigma}^2 = \frac{1}{S} \Sigma_{i=1}^S (f(x_i) - \hat{\mu})^2]

[P(\mu - 1.96 \frac{\hat{\sigma}}{\sqrt{S}} \le \hat{\mu} \le \mu + 1.96 \frac{\hat{\sigma}}{\sqrt{S}}) \approx 0.95]

이 때 $\sqrt{ \frac{\hat{\sigma^2}} {S}}$ 는 Numerical(Empirical) Standard Error 라고 불리며, 이는 $\mu$ 의 추정량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추정치이다. 만약 우리가 95%의 확률로 $\pm \epsilon$ 내부에 위치할 만큼 정확한 Report를 원한다면 우리는 $1.96 \sqrt{ \frac{\hat{\sigma}^2}{S}} \le \epsilon$ 을 만족시키는 $S$ 개의 Sample이 필요하다.

Comment  Read more

EM (Expected Maximization) 알고리즘 설명

|

이번 글에서는 통계학을 비롯하여 여러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Expected Maximization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본 글은 Bishop의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Chapter9 부분을 번역하여 정리한 것이다. 더욱 상세한 내용을 원한다면 직접 책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EM 알고리즘은 잠재 변수를 가진 모델에서 MLE를 찾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Stochastic Gradient Descent와 같은 함수 최적화 방식으로 MLE를 찾을 수 있지만 쉽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이다.


1. Mixture Models

1.1. Mixture of Gaussians

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산적인 잠재 변수를 갖는 모델로서 생각해보자. Gaussian Mixture 분포는 아래와 같이 정규분포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p(\mathbf{x}) = \Sigma_{k=1}^K \pi_k \mathcal{N} (\mathbf{x} \mu_k, \Sigma_k)]

이 때 $\pi_k$ 는 k라는 cluster에 속할 확률을, $K$ 는 Cluster의 개수를 의미한다.

위와 같이 표현이 가능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1-of-K representation(하나의 원소만 1이고, 나머지는 0인)을 갖고 $K$ 차원을 가진 이산 확률 변수 $\mathbf{z}$ 가 있다고 하자.

우리는 이제 결합확률 분포 $p(\mathbf{x}, \mathbf{z})$ 를 아래 두 분포의 관점에서 정의하고자 한다. (베이지안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된다.)

[p(\mathbf{z}), p(\mathbf{x} \mathbf{z})]

$\mathbf{z}$ 에 대한 Marginal 분포는 아래와 같이 mixing 계수 $\pi_k$ 의 관점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p(z_k = 1) = \pi_k]

$\mathbf{z}$ 가 1-of-K representation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p(\mathbf{z})$ 를 정의할 수 있다.

[p(\mathbf{z}) = \prod_{k=1}^K \pi_k^{z_k}]

유사하게, 특정 $\mathbf{z}$ 값이 주어졌을 때 $\mathbf{x}$ 의 조건부 분포는 아래와 같이 정규분포이다.

[p(\mathbf{x} z_k = 1) = \mathcal{N} (\mathbf{x} \mu_k, \Sigma_k)]

이 사실을 이용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mathbf{x} \mathbf{z}) = \prod_{k=1}^K \mathcal{N} (\mathbf{x} \mu_k, \Sigma_k)^{z_k}]

최종적으로 이번 Chapter 서두에서 보았던 $p(\mathbf{x})$ 를 얻을 수 있다.

[p(\mathbf{x}) = \Sigma_z p(\mathbf{z}) p(\mathbf{x} \mathbf{z}) =\Sigma_{k=1}^K \pi_k \mathcal{N} (\mathbf{x} \mu_k, \Sigma_k)]

각 $x_i$ 에 대해 이에 상응하는 $z_i$ 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제 명시적인 잠재 변수를 포함하는 Gaussian Mixture 공식을 얻긴 하였는데, 사실 우리는 $p(\mathbf{x}, \mathbf{z})$ 를 얻고 싶다. 이는 EM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Posterior 또한 매우 중요하다. $\mathbf{x}$ 가 주어졌을 때 $z_k = 1$ 일 조건부 확률을 $\gamma(z_k)$ 라고 하자. 베이즈 정리에 의해 다음 식을 도출할 수 있다.

[\gamma(z_k) = p(z_k = 1 \mathbf{x}) = \frac {p(z_k = 1) p(\mathbf{x} z_k = 1)} {\Sigma_{j=1}^K p(z_j = 1) p(\mathbf{x} z_j = 1)}]
[= \frac {\pi_k \mathcal{N} (\mathbf{x} \mu_k, \Sigma_k ) } {\Sigma_{j=1}^K \pi_j \mathcal{N} (\mathbf{x} \mu_j, \Sigma_j)}]

이제 이 $\gamma(z_k)$ 는 관측값 x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component k의 Responsibility로 파악할 수 있다.

1.2. Maximum Likelihood

우리가 $\mathbf{x}_1, …, \mathbf{x}_N$ 의 관측값을 가진 데이터셋을 갖고 있다고 하자. 그리고 우리는 GMM을 이용하여 이 $(N, D)$ 형상의 데이터 $X$를 모델링하고 싶다. 이 때 n번째 행은 $\mathbf{x}_n^T$ 라고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도 이에 상응하는 잠재 변수들은 $(N, K)$ 형상의 $Z$ 행렬로 표현될 수 있고, 이 때 행은 $\mathbf{z}_n^T$ 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데이터가 분포로부터 독립적으로 추출되었다면, 우리는 GMM을 다음과 같은 그래프 모델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Log Likelihood 함수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log p(\mathbf{X} \pi, \mu, \Sigma) = \Sigma_{n=1}^N log [\Sigma_{k=1}^K \pi_k \mathcal{N} ( \mathbf{x}_n \mu_k, \Sigma_k ) ]]

이제 MLE를 통해서 이 함수를 최대화 해야 한다. 그런데 그게 그렇게 녹록치만은 않다. 2가지 이슈가 있다.

1) 특이점 문제: Problem of Singularities
2) 혼합의 식별 문제: Indentifiability of Mixtures

먼저 특이점 문제에 대해 살펴볼 것인데, 공분산 행렬이 $\Sigma_k = \sigma^2_k I$ 인 간단한 Gaussiam Mixture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 때 j번째 분포만을 고려한다면 이 분포의 평균은 당연히 $\mu_j$ 일 것인데, 그런데 만약 이 j번째 분포에 오직 1개의 Sample만이 존재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mu_j = \mathbf{x}_n$ 가 될 것이고 Likelihood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mathcal{N} (\mathbf{x}_n \mathbf{x}_n, \sigma_j^2 \mathbf{I}) = \frac{1}{(2\pi)^{\frac{1}{2}}\sigma_j}]

만약 이 때 $\sigma_j \to 0$ 이라면, 이 항이 무한을 향해 나아갈 것이고 또한 Log Likelihood 또한 무한이 될 것이다. (Likelihood 함수는 각각의 분포의 곱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Likelihood 함수는 well-posed된 문제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Singularities는 Gaussian Component들 중 하나라도 특정 데이터 포인트에 쏠리기만 해도 이러한 현상은 언제나 발생하기 때문이다.

단 하나의 Gaussian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Gaussian Mixture에서는 우연히 하나의 데이터 포인트가 하나의 분포를 이루는 경우가 종종 존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Singularity는 Maximum Likelihood 방법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과적합 문제에 대한 또다른 예시를 제공해주는 셈이다. 우리가 만약 Bayesian Approach를 도입한다면 이러한 문제를 겪지 않을 수 있다. 적절한 휴리스틱을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Gaussian Component가 평균이 특정 데이터 포인트에 collapse할 경우 그 component의 평균을 랜덤하게 선택된 값으로 설정하고, 공분산 역시 어떤 큰 값으로 설정한 후 최적화를 다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두 번째 문제인 식별 문제에 대해 알아보자. K개의 파라미터를 K개의 Component에 할당하는 방법은 K!개이기 때문에, K-component Mixture에는 MLE 결과를 동일하게 만드는 K!개의 Solution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임의의 한 Sample에 대해 똑같은 분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K!-1 개의 데이터 포인트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식별 문제, Identifiability라고 부르며 모델에 의해 밝혀진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이슈이다.

1.3. EM for Gaussian Mixtures

다음 Chapter에서는 EM 알고리즘이 변분 추론의 한 방법임을 밝히면서 좀 더 일반화된 설명을 진행하겠지만, 일단 이번 Chapter에서는 GMM의 맥락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GMMEM 알고리즘으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Log Likelihood를 최대화하는 파라미터들인 $\mu, \Sigma, \pi$ 를 찾아내야 한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나가 보도록 하겠다.

[log p(\mathbf{X} \pi, \mu, \Sigma) = \Sigma_{n=1}^N log (\Sigma_{k=1}^K \pi_k \mathcal{N} ( \mathbf{x}_n \mu_k, \Sigma_k ))]

Gaussian Component의 평균 $\mu_k$ 에 대한 위 식의 미분 값을 0이라고 설정하면 우리는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0 = - \Sigma_{n=1}^N \frac{\pi_k \mathcal{N} ( \mathbf{x}_n \mu_k, \Sigma_k )}{\Sigma_{j} \pi_j \mathcal{N} ( \mathbf{x}_n \mu_j, \Sigma_j )} \Sigma_k (\mathbf{x}_n - \mu_k)]

이 때 중간의 분수 식은 $\gamma(z_{nk})$ 임을 기억하자. $\Sigma_k^{-1}$ 를 곱하고 정리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이 식을 A 식이라고 하자.

[\mu_k = \frac{1}{N_k} \Sigma_{n=1}^N \gamma(z_{nk}) \mathbf{x}_n]

[N_k = \Sigma_{n=1}^N \gamma(z_{nk})]

이 때 $N_k$ 는 Cluster k에 배정된 데이터 포인트의 효과적인 수로 해석할 수 있다. k번째 Gaussian Component의 평균 $\mu_k$ 는 데이터셋에 있는 모든 데이터 포인트의 가중 평균을 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포인트 $\mathbf{x}_n$ 의 가중 Factor는,
Component k가 $\mathbf{x}_n$ 을 생성하는 데 Responsible할 사후 확률을 의미하며 그 확률은 아래와 같다.

[\gamma(z_{nk})]

이번에는 $\Sigma_k$ 에 대한 Log Likelihood의 미분 값을 0이라고 설정하고 위와 같은 유사한 과정을 거치면 single Gaussian에 대한 공분산 행렬의 Maximum Likelihood Solution을 아래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이 식을 B 식이라고 하자.

[\Sigma_k = \frac{1}{N_k} \Sigma_{n=1}^N \gamma(z_{nk}) (\mathbf{x}_n - \mu_k) (\mathbf{x}_n - \mu_k)^T]

위 식은 데이터셋에 적합한 single Gaussian의 결과와 같은 형상을 취하지만, 각 데이터 포인트는 상응하는 사후 확률에 의해 가중되어 있고, 각 Component의 데이터 포인트의 효과적인 수로 나눠지고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이 Log Likelihood를 mixing 계수 $\pi_k$ 에 대해 최대화해보자. 이 때 mixing 계수들의 총합은 1이라는 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는데, 이는 Lagrange Multiplier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log p(\mathbf{x} \pi, \mu, \Sigma) + \lambda (\Sigma_{k=1}^K \pi_k - 1 )]

그래서 위 식을 최대화하면,

[0 = \Sigma_{n=1}^N \frac{\mathcal{N} ( \mathbf{x}_n \mu_k, \Sigma_k )}{\Sigma_{j} \pi_j \mathcal{N} ( \mathbf{x}_n \mu_j, \Sigma_j )} + \lambda]

이 때 $\pi_k$ 를 양변에 곱해주면,

[0 = \Sigma_{n=1}^N \frac{\pi_k \mathcal{N} ( \mathbf{x}_n \mu_k, \Sigma_k )}{\Sigma_{j} \pi_j \mathcal{N} ( \mathbf{x}_n \mu_j, \Sigma_j )} + \lambda]

[\to 0 = \Sigma_{n=1}^N \gamma(r_{nk}) + \lambda]

[\to 0 = N_k + \lambda]

$\lambda = N_k$ 임을 알았다. $\lambda$ 대신 $N_k$ 를 이용하여 식을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식은 C 식이라고 하자.

[\pi_k = \frac{N_k}{N}]

해석해보면, k번째 Component의 mixing 계수는 그 Component가 데이터 포인트들을 설명하는 평균 Responsiblity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얻은 $\mu_k, \Sigma_k, \pi_k$ 는 Closed-form의 해를 갖지 못하느데, 왜냐하면 이 파라미터들은 아래 식에서처럼 $\gamma(z_k)$ 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gamma(z_k) = p(z_k = 1 \mathbf{x}) = \frac {\pi_k \mathcal{N} (\mathbf{x} \mu_k, \Sigma_k ) } {\Sigma_{j=1}^K \pi_j \mathcal{N} (\mathbf{x} \mu_j, \Sigma_j)}]

따라서 MLE를 얻기 위해서는 Iterative(반복적인) 방법이 제안된다. 일단 처음에는 이 파라미터들에 대한 초깃값을 설정하고, E stepM step이라 부르는 2가지 단계를 통해 업데이트를 교대로 수행하면 된다.

먼저 E step에서는 위 $\gamma(z_k)$ 에 대한 식을 통해 파라미터의 현재의 값으로 사후 확률을 평가한다. 그리고 이 확률은 M step에서 파라미터들을 A, B, C 식으로 재추정하는데에 사용된다.

정리해보자.

EM for Gaussian Mixtures
1) 평균, 공분산, mixing 계수를 초기화하고 Log Likelihood의 초깃값을 평가한다.
2) E step: 현재의 파라미터 값에 기반하여 Responsibility를 구한다.

[\gamma(z_k) = \frac {\pi_k \mathcal{N} (\mathbf{x} \mu_k, \Sigma_k ) } {\Sigma_{j=1}^K \pi_j \mathcal{N} (\mathbf{x} \mu_j, \Sigma_j)}]

3) M step: 위에서 구한 ResponsibilityA, B, C 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파라미터값을 재추정한다.

[\mu_k = \frac{1}{N_k} \Sigma_{n=1}^N \gamma(z_{nk}) \mathbf{x}_n]

[\Sigma_k = \frac{1}{N_k} \Sigma_{n=1}^N \gamma(z_{nk}) (\mathbf{x}_n - \mu_k) (\mathbf{x}_n - \mu_k)^T]

[\pi_k = \frac{N_k}{N}]

4) Log Likelihood를 평가한다.

[log p(\mathbf{X} \pi, \mu, \Sigma) = \Sigma_{n=1}^N log [\Sigma_{k=1}^K \pi_k \mathcal{N} ( \mathbf{x}_n \mu_k, \Sigma_k ) ]]

그리고 파라미터나 Log Likelihood가 수렴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수렴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2단계로 돌아가서 반복한다.


2. An Alternative View of EM

이번 Chapter에서는 EM 알고리즘에서 잠재 변수가 갖는 핵심적인 역할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다시 설명하지만, EM 알고리즘의 목표는 잠재 변수를 갖는 모델의 Maximum Likelihood를 찾는 것이다. 파라미터가 주어졌을 때 Log Likelihood는 아래와 같다.

[log p(\mathbf{X} \theta) = log { \Sigma_{\mathbf{Z}} p (\mathbf{X}, \mathbf{Z} \theta) }]

물론 연속적인 잠재 변수가 존재하면 위 식에 적분 기호를 적용하면 된다.

중요한 점은, 잠재 변수에 대한 $\Sigma$ 가 Log 안쪽에 있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Logarithm이 결합 분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아 Maximum Likelihood Solution을 찾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가져다 준다.

잠시 CompleteIncomplete의 개념을 알아보자. $\mathbf{Z}, \mathbf{X}$ 를 모두 알고 있다면, 이를 Complete 데이터라고 부른다. 만약 잠재 변수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mathbf{X}$ 에 대해서만 안다면, 이는 Incomplete 데이터이다.

[log p(\mathbf{X, Z} \theta)]

이 때 Complete 데이터의 경우 Likelihood 함수는 단지 위 식과 같이 표현되기 때문에 계산이 어렵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mathbf{Z}$ 를 아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우리가 잠재 변수에 대해 아는 것은 오직 Posterior일 뿐이다. 우리가 Complete-data Log Likelihood를 쓸 수 없기 때문에, 잠재 변수의 사후 분포 하의 이것의 기댓값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 보아야 하는데, 이는 사실 E step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어지는 M step에서는 이 기댓값을 최대화 한다. 만약 파라미터에 대한 현재의 추정값을 $\theta^{old}$ 라고 한다면, E, M step 이후의 파라미터는 $\theta^{new}$ 로 수정되어 표현할 수 있겠다.

E step 에서는 $\theta^{old}$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잠재 변수에 대한 Posterior를 찾게 된다.

[p(\mathbf{Z X, \theta^{old}})]

그리고 이 Posterior를 사용하여 어떤 일반적인 파라미터 값인 $\theta$ 를 찾기 위해 Complete-data Log Likelihood의 기댓값을 계산하게 된다. 이 기댓값은 $\mathcal{Q} (\theta, \theta^{old})$ 라고 표현하며 아래와 같은 형상을 취한다.

[\mathcal{Q} (\theta, \theta^{old}) = \Sigma_{\mathbf{Z}} p(\mathbf{Z X, \theta^{old}}) log p(\mathbf{X, Z \theta})]

그리고 M step에서는 위 식을 최대화하는 $\theta$ 를 찾아 $\theta^{new}$ 로 설정한다.

[\theta^{new} = \underset{\theta}{argmax} \mathcal{Q} (\theta, \theta^{old})]

$\mathcal{Q} (\theta, \theta^{old})$ 에서 Logarithm은 결합 분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M step 에서의 최적화는 tractable하다.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The General EM Algorithm
1) $\theta^{old}$ 에 대한 초깃값을 설정한다.
2) E step: 아래 사후 확률을 계산한다.

[p(\mathbf{Z X, \theta^{old}})]

3) M step: $\theta^{new}$ 를 찾고 평가한다.

[\theta^{new} = \underset{\theta}{argmax} \mathcal{Q} (\theta, \theta^{old})]

[\mathcal{Q} (\theta, \theta^{old}) = \Sigma_{\mathbf{Z}} p(\mathbf{Z X, \theta^{old}}) log p(\mathbf{X, Z \theta})]

4) 파라미터 또는 Log Likelihood가 수렴하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theta^{old} \leftarrow \theta^{new}$ 로 업데이트를 진행한 후 2단계 부터 다시 진행한다.

파라미터에 대해 Prior $p(\theta)$ 가 정의된 모델에 대해 MAP Solution을 찾는 데에도 EM 알고리즘을 쓰일 수 있다. 이 때 E step은 위와 동일하며 M step의 경우 아래와 같이 약간의 수정이 가미된다.

[\mathcal{Q} (\theta, \theta^{old}) + logp(\theta)]

Prior가 절절히 선택된다면 MAP Solution을 찾는 방식으로 Singularities를 제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잠재 변수에 대해 대응하는 방식으로써 EM 알고리즘을 설명하였는데, 사실 이 알고리즘은 결측값이 존재할 때 역시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참고 자료를 확인하길 바란다.

이번 Chapter의 내용을 바탕으로 GMM을 다시 한 번 설명한 부분은 Reference의 책의 442페이지를 참조하길 바란다.


3. The EM algorithm in General

이 Chapter의 주된 내용은 EM 알고리즘을 변분 추론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변분 추론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조하라.

지금까지 계속 보았듯이 우리의 목적은 아래 Likelihood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p(\mathbf{X} \theta) = \Sigma_\mathbf{Z} p(\mathbf{X, Z \theta})]

잠재 변수에 대한 분포 $q(\mathbf{Z})$ 를 설정하자. 어떻게든 이 분포에 대해 알 수 있다면 아래와 같은 식은 성립한다.

[log p(\mathbf{X} \theta) = \mathcal{L}(q, \theta) + KL(q   p)]
[\mathcal{L}(q, \theta) = \Sigma_Z q(\mathbf{Z}) log { \frac{p(\mathbf{X, Z \theta})}{q(\mathbf{Z})} }]
[KL(q   p) = - \Sigma_\mathbf{Z} q(\mathbf{Z}) log { \frac{p(\mathbf{Z X, \theta})}{q(\mathbf{Z})} }]

위 식은 변분 추론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다면 자주 보았던 식일 것이다. 아래와 같은 확률의 곱셈 법칙을 이용하면,

[log p(\mathbf{X, Z \theta}) = log p(\mathbf{Z X, \theta}) + log p(\mathbf{X \theta})]

위에서 기술한 ELBO식을 다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EM 알고리즘은 2단계로 MLE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위에서 본 분해 식을 활용하여 Log Likelihood를 최대화해보자.

현재의 파라미터를 $\theta^{old}$ 라고 한다면, E step에서는 이를 고정한 채, ELBO $\mathcal{L} (q, \theta)$ 를 $q(\mathbf{Z})$ 에 대해 최대화할 것이다. 이 최대화 해는 쉽게 찾을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겠다.

일단 앞서 확인한 확률의 곱셈법칙으로 인해 $\theta^{old}$ 가 주어졌을 때 아래 식은 $\mathbf{Z}$ 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og p(\mathbf{X, Z \theta}) = log p(\mathbf{Z X, \theta}) + log p(\mathbf{X \theta})]

그렇다면 ELBO가 최대화된다는 뜻은 결국 KL-divergence가 최소화된다는 뜻이다. 이 경우는 곧 KL-divergence 식에 존재하는 두 분포가 유사해질 때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참조)

[q(\mathbf{Z}) \approx p(\mathbf{Z X, \theta^{old}})]

이제 M step 에서는 $q(\mathbf{Z})$ 를 위 식과 같이 고정하고 ELBO를 최대화하여 $\theta^{new}$ 를 얻는다. 이는 결국 Log Likelihood를 증가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조금 더 상세히 알아보자. ELBO는 아래와 같은 식인 것을 확인했다.

[\mathcal{L}(q, \theta) = \Sigma_Z q(\mathbf{Z}) log { \frac{p(\mathbf{X, Z \theta})}{q(\mathbf{Z})} }]

자 이제 $q(\mathbf{Z})$ 를 고정해보자.

[\mathcal{L}(q, \theta) = \Sigma_Z p(\mathbf{Z X, \theta^{old}}) log p(\mathbf{X, Z \theta}) - \Sigma_Z p(\mathbf{Z X, \theta^{old}}) log p(\mathbf{Z X, \theta^{old}})]

[= \mathcal{Q} (\theta, \theta^{old}) + Const]

위 상수는 사실 그냥 q 분포에 대한 Negative Entropy이다. 결국 M step 에서 최대화하고 있는 것은 이전 Chapter에서 설명하였던 것처럼, Complete-Data Log Likelihood인 것이다. 물론 만약 아래와 같은 결합 분포가 Exponential Family에 속한다면 Log가 Exponential을 cancel하고 계산은 훨씬 간단해질 것이다.

M step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다음 그림은 EM 알고리즘의 전반적인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EM 알고리즘은 파라미터의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덕분에 EM 알고리즘은 Bayesian Optimization에서 Acqusiition Function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빨간 선이 우리가 최대화하고 싶은 Complete-Data Log Likelihood이다. 파란 선은 초깃값으로 설정한 ELBO이다. 지속적으로 EM을 수행하면 초록 선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References

Bishop,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Chapter9

Comment  Read more

Variational Inference (변분 추론) 설명

|

본 글에서는 정보 이론과 관련이 있는 Kullback-Leibler Divergence와 이를 기반으로 한 Variational Inference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시작에 앞서, 변분 추론은 근사 추정의 대표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밝히고 싶으며, 본 글에서 소개된 변분 추론 기법은 Vanilla Variational Inference라고 부를 수 있는 CAVI이다. CAVI의 단점을 보완한 다양한 변분 추론 기법들이 연구되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후속 글에서 다루도록 할 것이다.

1. Kullback-Leibler Divergence

정보이론에서 정보량은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많아지는 것으로 정의한다. Shannon Entropy는 확률의 값에 $log$ 를 씌우고 -1을 곱해준 값으로, 모든 사건의 정보량의 Expectation을 의미한다. 확률 분포 P에 대한 섀넌 엔트로피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H(P) = E_{X \sim P}[-logP(x)]]

Kullback-Leibler Divergence는 분포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데, 비대칭적이기 때문에 거리를 나타내는 척도로는 사용될 수 없다. 그보다는 정보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좋다.

어떤 확률 분포 $P(x)$ 가 주어졌을 때, 이 분포와 $Q(x)$ 라는 분포와의 차이를 알고 싶다면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을 구하면 된다. 이 값은 Cross-Entropy에서 Self-information을 뺀 값으로 정의되는데, Cross-Entropy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H(P, Q) = E_{X \sim P}[-log(Q(x))] = -\Sigma_x P(x) log Q(x)]

$H(P)$ 로 표현되는 Self-Information은 그 확률변수가 갖고 있는 정보량을 의미하는데,

이산확률변수라면 $-\Sigma_x P(x) logP(x)$로 표현할 수 있다.

이제 쿨백-라이블리 발산 식을 보자.

[D_{KL}(P   Q) = H(P, Q) - H(P)]

[= -\Sigma_x P(x) log Q(x) + \Sigma_x P(x) logP(x)]

[= -\Sigma_x [P(x) log Q(x) - P(x)logP(x)]]

[= -\Sigma_x P(x) [logQ(x)-logP(x)]]

[= -\Sigma_x P(x) log(\frac{Q(x)}{P(x)})]

[= E_{X \sim P}[-log \frac{Q(x)}{P(x)}]]

쿨백-라이블리 발산을 최소화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두 확률 분포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P를 우리가 갖고 있는 데이터의 분포, 혹은 계산하기 편리한 쉬운 분포라고 한다면 Q는 모델이 추정한 분포 또는 확률적으로 계산하기 어려운 분포라고 생각할 수 있다.

머신러닝 관점에서 생각해본다면 Self-Information 부분은 학습 과정에 있어서 어떤 변동을 겪지는 않는다. 따라서 쿨백-라이블리 발산을 최소화하는 것은 크로스-엔트로피를 최소화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두 분포가 동일하면 쿨백-라이블리 발산은 0의 값을 가지고 다를수록 점점 큰 값을 가진다.


2. Variational Inference

2.1. ELBO

$\mathbf{x}$ 란 확률 변수가 있고, 이 변수의 특성의 상당 부분은 잠재 변수인 $\mathbf{z}$ 에 의해 설명된다고 하자. 우리는 이 때 우리는 $\mathbf{x}$ 의 실현 값인 데이터가 존재할 때 $\mathbf{z}$ 의 분포, 즉 Posterior $p(\mathbf{z}|\mathbf{x})$ 를 알고 싶다. 그런데 Posterior는 많은 경우에 Numerical 계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는 이 Posterior를 알기 쉬운 분포 $q(\mathbf{z})$ 로 바꾸고 싶다.

[p(z x) \to q(z)]

변분추론은 이렇게 Posterior를 다루기 쉬운 분포로 근사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 때 $q(z)$ 는 어떤 함수의 집합 $Q$ 의 한 원소라고 생각할 수 있다.

용어를 잠시 정리해보자.

$p(x)$ 는 Marginal Probability 또는 Evidence를, $p(z)$ 는 Prior를 의미한다.
$p(x|z)$ 는 Likelihood를, $p(z|x)$ 는 Posterior를 의미한다.

위에서 확인한 쿨백-라이블리 발산을 이용하여 변분추론을 설명하면, 변분추론은 아래와 같이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을 최소화하는 $Q$ 집합 내의 q 함수를 찾는 것이 된다.

[q^*(x) = argmin_{q \in Q} D_{KL}(q(z)   p(z x))]

이전 Chapter에서 쿨백-라이블리 발산은 분포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Index라고 하였다. 이 식을 위 관점을 다시 한 번 분석해보자.

[D_{KL}(q(z)   p(z x)) = \int q(z) log \frac{q(z)}{p(z x)} dz]
[= \int q(z) log \frac{q(z)p(x)}{p(x z)p(z)}]
[= \int q(z) log \frac{q(z)}{p(z)}dz + \int q(z) logp(x) dz - \int q(z) log p(x z) dz]
[= D_{KL}(q(z)   p(z)) + logp(x) - E_{z \sim q(z)}[logp(x z)]]

이렇게 사후확률과 다루기 쉬운 분포 사이의 쿨백-라이블리 발산은 총 3가지 항으로 분해할 수 있다.

쿨백-라이블리 발산은 그 정의 때문에 0 이상의 값을 가진다. 즉 Non-negative이다. 따라서 제일 마지막 줄은 아래와 같이 다시 표현할 수 있다. (이 부분은 Jensen의 부등식을 통해서도 추론할 수 있다.)

[0 \le D_{KL}(q(z)   p(z)) + logp(x) - E_{z \sim q(z)}[logp(x z)]]
[logp(x) \ge E_{z \sim q(z)}[logp(x z)] - D_{KL}(q(z)   p(z))]

우항을 ELBO(Evidence Lower BOund)라고 부른다. Evidence의 하한선이라는 의미이다.

Variational Density $q(z)$ 와 Posterior 사이의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 부터 다시 표현해보면,

[D_{KL}(q(z)   p(z x)) = D_{KL}(q(z)   p(z)) + logp(x) - E_{z \sim q(z)}[logp(x z)]]
[logp(x) = ELBO + D_{KL}(q(z)   p(z x))]

위 식을 보면 EvidenceELBO쿨백-라이블리 발산의 합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수식이다. 일단은 쿨백-라이블리 발산을 최소화하는 것은 곧 ELBO를 최대화하는 것과 의미가 같다는 것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만 ELBO와 쿨백-라이블리 발산 모두 q 함수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단순히 한 쪽을 최소화하는 q 함수를 찾았다고 해서 이것이 반드시 Evidence의 값을 최소화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부분은 잊으면 안된다.

다음 Chapter 부터는 최적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인데, 전통적인 방법인 CAVI를 통해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2.2. CAVI: Cooridinate Ascent mean field Variational Inference

(Mean-Field Variational Inference)

그렇다면 q 함수는 대체 어떤 함수인가? 아주 클래식한 방법으로 설명하자면, Mean Field Variational Family를 언급해야 할 것이다. 잠재 변수 $\mathbf{z}$ 가 모두 독립적이라고 할 때, q 함수는 아래와 같이 분해될 수 있다.

[q(\mathbf{z}) = \prod_j q_j(z_j)]

이렇게 Variational 분포를 각각의 곱으로 분해하고 나면, 우리는 각 Factor에 대해 Coordinate Ascent Optimization을 적용할 수 있다. CAVI는 한 쪽을 고정한 채, Mean-Field Variational Density의 각 Factor를 반복적으로 최적화한다. 이 알고리즘은 ELBO의 Local Optimum으로 이끈다.

ELBO를 다시 확인해보자.

[ELBO = E_{z \sim q(z)}[logp(\mathbf{x} z)] - D_{KL}(q(z)   p(z))]

[= \int_z q(z) log p(\mathbf{x}, z) - q(z)logq(z) dz]

[= E_{z \sim q(z)} [logp(\mathbf{x}, z)] - E_{z \sim q(z)}[logq(z)]]

CAVI의 핵심 아이디어는 q 함수가 분해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것이다. $z_j$ 를 j번째 잠재 변수라고 하자. (아래의 - 기호는 그 index를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mathbf{x}$ 와 $\mathbf{z}_{-j}$ 가 모두 주어졌을 때 $z_j$ 의 Complete 조건부 확률이다. 이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ogp(z_j \mathbf{z}_{-j}, \mathbf{x})]

그런데 앞서 했던 가정에 따라 모든 잠재 변수는 독립적이다. 따라서 위 식은 아래와 같다.

[= logp(z_j, \mathbf{z}_{-j}, \mathbf{x})]

지금부터 이 사실을 염두에 두고 위에서 보았던 ELBO 식을 $q_j$ 의 관점에서 풀어쓸 것이다. 아래에서 나오는 $l$ 기호는 $j$ 가 아닌 Index를 의미한다. (j번째 잠재 변수가 아닌 나머지 Variational Factors: $q_l(\mathbf{z}_l)$ )

[ELBO = E_q[logp(\mathbf{x}, z_j, \mathbf{z}{-j})] - E{q_l}[logq_l(\mathbf{z}_l)]]

Iterative Expectation을 이용하면,

[(E[A] = E[E[A B]])]
[= E_j [E_{-j} [logp(\mathbf{x}, z_j, \mathbf{z}_{-j}) z_j]] - E_{q_j}[logq_j] + Const]

첫 항의 안쪽 부분을 보자. 기댓값의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식을 전개할 수 있다.

[E_{-j} [logp(\mathbf{x}, z_j, \mathbf{z}_{-j}) z_j] = \int_{-j} logp(\mathbf{x}, z_j, \mathbf{z}{-j}) q(\mathbf{z}{-j} z_j) dq_{-j}]

[= \int_{-j} logp(\mathbf{x}, z_j, \mathbf{z}{-j}) q(\mathbf{z}{-j}) dq_{-j}]

[= E_{-j} [logp(\mathbf{x}, z_j, z_{-j})]]

최종적으로 $q_j$ 에 대한 ELBO는 아래와 같다.

[ELBO = E_j[ E_{-j} [logp(\mathbf{x}, z_j, \mathbf{z}_{-j})]] - E_j[logq_j] + Const]

첫 번재 항을 최대로 하는 것이 $q_j$ 에 대한 ELBO를 최대화하는 길이다. 따라서 $q_j$ 에 대한 Optimal Solution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j{z_j} \propto exp( E{-j} [logp(\mathbf{x}, z_j, \mathbf{z}_{-j})] )]

쿨백-라이블리 발산이 아래와 같이 표현되었다는 사실을 기억해보자.

[D_{KL}(Q(x)   P(x)) = E_{X \sim P}[-log \frac{Q(x)}{P(x)}]]

위 쿨백-라이블리 발산의 개념을 적용해보면, $q_j$ 에 대한 ELBO 식은 $q^{*}_j z_j, q_j(z_j)$ 사이의 Negative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를 해석해보면, j번째 잠재변수의 Variational Densityj번째 잠재변수의 최적화된 Variational Density와 유사하게 만드는 것이 $q_j$ 의 ELBO를 최대화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을 모든 j에 대해, ELBO가 수렴할 때까지 반복한다면 우리가 원하는 q 함수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을 정리해보자.

CAVI의 일반적인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Variational 분포 q를 설정한다.
2) 각 잠재 변수의 Gradient를 잡아 각 $q_j$ 를 최적화한다.
3) ELBO를 계산한다.
4) ELBO가 수렴할 때 까지 위 과정을 반복한다.

CAVI는 클래식하고 좋은 방법론이지만, Non-Convex 최적화 문제에서 Global Optimum에 도달할 것이라고 보장해주지는 못한다. 즉, 충분히 쿨백-라이블리 발산 값을 최소화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또한 MCMC와 같은 Posterior Estimation 보다는 (최적화 방법이기에) 속도가 빠르지만 한 쪽을 고정하고 다른 쪽을 교대로 계산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속도가 아주 빠르지는 않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여러 방법론이 대두되었는데, Stochastic Gradient Descent, Convex Relaxation, Monte Carlo Sampling 등의 개념을 활용한 알고리즘들이 등장하였다. 글 서두에서도 밝혔듯이 이러한 알고리즘들에 대해서는 후속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Reference

1) 변분추론 설명 블로그1
2) 변분추론 설명 블로그2
3) 패턴인식-머신러닝 책 정리 사이트
4) 변분추론 논문

Comment  Read more